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자오창펑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규제를 준수하는 온전한 금융기관으로 거듭나겠다”며 자신을 대체할 전문 경영인을 찾겠다고 밝혔다.

27일(현지 시각) 미 경제전문매체 CNBC에 따르면, 자오 CEO는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 직위를 당장 그만두는 것은 아니다. 다만 많은 경험을 가진 전문 경영인을 찾는데 매우 개방적”이라며 “적합한 후임자를 찾기 전까진 계속 회사를 경영할 예정”이라고 했다.

자오 CEO의 이번 발표는 최근 세계 각국 정부가 바이낸스에 ‘규제 폭탄’을 퍼붓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2일 바이낸스가 무면허로 자국에서 디지털 자산 사업을 운영해 왔다며 형사 고발 조처를 했다. 지난달 25일에는 영국 금융행위감독청(FCA)이 같은 이유로 바이낸스의 자국 내 영업활동을 중단시켰다. 일본 금융청 역시 지난달 바이낸스에 당국의 허가 없이 영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통보했다.

미국 법무부와 국세청은 지난 5월부터 바이낸스를 통한 자금 세탁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독일 금융감독청은 지난 4월 바이낸스가 테슬라 등의 주식과 연계된 토큰을 발행하면서 투자 설명서를 발행하지 않는 등 유럽연합(EU)의 증권법을 위반한 혐의가 있어 벌금을 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바이낸스

바이낸스가 이처럼 각국 정부의 제재 대상이 된 건 바이낸스가 운영 중인 암호화폐 거래소가 자금세탁 등 불법적인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다. 이와 관련, 미국의 블록체인 포렌식 회사인 체인어낼리시스는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바이낸스가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보다 범죄행위에 얽힌 자금 이동이 더 많다”고 밝힌 바 있다.

자오 CEO는 이날 각국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각국 지사를 설립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그는 지난 7일 “본부를 두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라는 의견을 밝혔으나, 각국의 규제 압박이 가중되자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전문가들은 “바이낸스가 각 국가별로 법인을 설립하는 전통적인 사업 방식이 아닌 탈중앙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소재지가 명확하지 않으며 책임을 물리기 어렵다”고 짚었다. 일각에서는 바이낸스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이용자들은 홍콩 국제중재센터를 통해야만 분쟁 해결 절차를 밟을 수 있는데, 일반 투자자가 진행하기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