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이 차세대 전투기 KF-21을 도입하기 위한 추가 계약을 26일 마무리했다. 공군은 2028년까지 KF-21 40대를 전력화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한화)는 이날 방위사업청(방살청)과 각각 KF-21 최초 양산 관련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AI는 방사청과 KF-21 20대 공급 등 총 2조3900억원 규모의 계약을, 한화에어로는 6232억원 규모의 KF-21 엔진 추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방사청은 지난해 3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에서 KF-21 최초 양산 항공기 총 40대를 2028년까지 공군에 인도하는 계획안을 승인했다. 이를 토대로 방사청은 KAI와 지난해 6월 KF-21 20대에 대한 최초 양산 계약을 우선 체결했고, 이날 이번에 잔여 물량인 20대에 대한 계약을 완료한 것이다.
KAI는 KF-21 20대 공급뿐만 아니라 후속 군수지원을 담당한다. 최초 양산계약 당시 KF-21의 공대공 무장과 항공전자 기능을 개발하는 단계여서 성능 검증은 이뤄지지 않았었다. 하지만 KAI가 검증까지 완료하면서 이번 잔여 물량 계약까지 모두 끝낸 것이다. KAI 관계자는 “성능이 입증됐다는 점을 보여주는 동시에 안정적인 양산 체제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KF-21은 현재 필리핀과 폴란드 등 해외에서 관심을 보이는 전투기다. KF-21의 무장과 성능에 대한 한국 공군의 보증으로 신뢰성이 높아진 가운데, 추가 수출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KF-21 개발과 양산 사업에는 KAI를 포함한 600여개 협력업체가 참여한다.
한화에어로는 이날 방사청과 맺은 계약까지 포함해 KF-21용 F414 엔진 80여대를 2028년 12월까지 공급하기로 했다. 앞서 한화에어로는 지난해 6월 5562억원 규모의 KF-21 엔진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날 20대 분량의 추가 계약이 이뤄지면서 한화에어로의 전체 계약 규모는 1조1794억원으로 늘어났다.
한화에어로 관계자는 “국내 유일의 항공 엔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KF-21 엔진을 차질 없이 공급하고 자주국방을 위한 첨단항공 엔진 개발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F-21 체계개발 사업은 내년 마무리될 예정이며, 공군은 내년 하반기부터 전력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