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세종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는 30일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26년도 ‘규제자유특구’ 및 ‘글로벌혁신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을 위한 특구 후보과제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의 전략산업 및 혁신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특정 지역에 규제 완화해 신기술과 신산업의 실증이 가능하게 하는 제도다.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한 ‘글로벌 혁신특구’도 별도로 지정한다. 이는 국내 규제로 인해 실증이 어렵거나, 국내에 전문 연구 인프라가 부족한 경우가 해당한다. 정부는 이러한 특구를 통해 해외에서의 실증과 인증까지 연계 지원하고,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입을 돕는다.

중기부는 또 제품과 서비스가 빠르게 상용화될 수 있도록 실증 기술개발(R&D)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실증 종료와 동시에 신제품이나 새로운 서비스가 시장에 나올 수 있는 과제들을 규제자유특구 및 글로벌 혁신특구로 발굴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구 후보과제 제안서 신청 대상은 비수도권 광역 및 기초 지자체다. 제출 기한은 9월 15일부터 19일까지다. 중기부는 제출된 제안서에 대한 서면·발표 평가를 통해 규제자유특구 7개 이내, 글로벌 혁신특구 5개 이내로 총 12개 이내 후보과제를 선발해 신규 특구 지정 가능성을 평가한다.

2026년도 규제자유특구 및 글로벌혁신특구는 2026년 상반기 중 심의위원회와 특구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중기부 장관이 최종 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