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 반도체와 AI 분야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보증제도로 ‘반도체산업 영위기업 특례보증’과 ‘AI·AX(인공지능전환) 경쟁력강화 우대보증’을 시행했다고 2일 밝혔다.
기술보증기금은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속에서 중소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고, 국가 핵심 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기술우위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이번 우대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기술혁신기업들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먼저 ‘반도체산업 영위기업 특례보증’은 정부가 지난 4월 발표한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방안’의 후속조치로, 팹리스, 파운드리, 소재·부품·장비 등 반도체 분야의 우수 기술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제조장비 국산화 등에 필요한 자금을 집중 지원한다. 기술보증기금은 지원 기업에 대한 보증한도를 최고한도인 최대 200억원까지 우대 적용하고, 최대 95% 보증비율 상향과 최대 0.3%포인트(p) 보증료율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AI·AX 경쟁력강화 우대보증’을 통해 AI 분야의 글로벌 격차를 해소하고, 핵심 인프라 확충 및 기술혁신기업의 원활한 AX(인공지능전환)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술보증기금은 AI 기술기업과 AI 도입·활용기업에 대해 보증비율 상향(최대 95%)과 보증료율감면(최대 0.3%p↓), 산정특례 확대 등의 우대사항을 적용한다.
앞서 기술보증기금은 지난달 정부의 제1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한 정부출연금을 바탕으로 미국의 관세조치 등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1조2000억원 규모의 ‘통상환경변화 위기극복 특례보증’을 시행한 바 있다. 기술보증기금은 통상환경변화 위기극복 특례보증, 반도체산업 영위기업 특례보증, AI·AX 경쟁력강화 우대보증 등 3종 맞춤형 지원제도를 마련함으로써 글로벌 통상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애로 해소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본격 지원할 계획이다.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기술보증기금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글로벌 통상환경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3종의 특례(우대)보증을 신속하게 마련했다”며 “다양한 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중소벤처기업이 위기를 발판 삼아 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