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우리 김(K-김)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대미(對美)·대중(對中) 수출 호조세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김을 둘러보고 있다. /뉴스1

2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8100만달러(한화 약 4020억원)다. 지난해 같은 기간(2억3200만달러)보다 21.1% 늘어난 수치다. 올해 1분기 김 수출량도 1만161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456t) 대비 7.5% 증가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5년 1분기(1076t)보다 844.3% 늘어난 셈이다.

국가별 1분기 김 수출액을 보면 미국이 5790만달러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국은 5110만달러로 집계됐다. 일본(3440만달러), 태국(3420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중국(86.5%)이다. 미국은 21.6%, 태국은 15.9%, 일본은 7.2% 각각 증가했다.

중국으로 수출된 김은 대부분 마른김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1분기 중국으로 수출된 마른김(2258t)은 지난해 동기 대비 97.2% 증가했다. 이는 마른김 전체 수출량의 40.3%에 달하는 수치다. 수출액은 4629만달러로 139.7% 늘었다.

조미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1분기 김 수출액은 30.6% 증가했다. 미국으로 수출된 조미김은 1367t으로 조미김 전체 수출량의 30.2% 수준이다. 마른김의 대미 수출량은 140t에 불과하다.

해수부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영화 영향으로 김밥이 유행해 마른김 수요가 급증했지만, 미국에서는 김 스낵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해수부가 오는 2027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연 10억 달러 김 수출’을 올해 앞당겨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9억9700만달러였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난해 김 수출 물량 대비 금액이 많이 늘었지만, 올해에는 물량과 금액이 함께 늘어 10억달러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한편, 원재료인 물김 가격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작황이 나아졌고 신규 양식장 허가·불법 물김 양식 성행 등으로 물김 생산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물김 가격은 지난 1월 1㎏당 76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4% 떨어졌다. 2월(1439원)과 3월(1483원)에도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17.5%, 42%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