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가 국내에서 오픈마켓(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 주는 온라인 장터)을 열기로 하고 한국인 판매자 모집에 나섰다.

18일 테무는 중국산 제품을 해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직구 방식으로 판매하던 기존 사업 모델에 더해 한국 상품을 직접 유통하는 ‘로컬 투 로컬’(L2L) 사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테무 판매자 센터 홈페이지. /테무 제공

해당 프로그램은 한국에 등록된 판매자 중에서 재고를 보유하고 자체 주문 처리와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대상으로 운영된다. 입점을 원하는 판매자는 구글에서 ‘테무 셀러 센터’로 검색해 한국 테무 판매자 센터 페이지를 방문해 등록할 수 있다.

테무에 따르면 L2L은 현재 미국, 멕시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벨기에, 오스트리아, 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스웨덴, 일본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

테무 관계자는 “테무는 국내 판매자들에게 수백만 명의 신규 고객과 직접 연결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라며 “국내 판매자의 플랫폼 입점으로, 소비자들은 테무에서 선호하는 현지 브랜드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테무는 2018년 미국 나스닥시장에 상장한 PDD홀딩스의 자회사다. PDD홀딩스는 중국 최대 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를 소유하고 있다. 2022년 미국을 시작으로 북미,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를 포함한 전 세계 90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에는 2023년 7월 진출한 후 중국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함께 ‘초저가 직구 상품’으로 주목받았다.

테무의 한국인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지난달 와이즈앱·리테일 집계 기준 823만4000여명이었다. 지난해 한국인의 결제 금액은 6002억원으로 추산됐다.

테무가 직진출을 결정하면서 국내 이커머스 시장 내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과 네이버가 양강 구도를 형성한 가운데 11번가, G마켓,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