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영화관 이용고객 수(구매 티켓 수 기준)가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영화관을 대체할 거란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프리미엄관을 중심으로 경험∙가치 소비에 무게를 둔 관객이 늘어난 결과다.
19일 롯데멤버스가 신한카드와 빅데이터 분석 교류의 일환으로 코로나19 이후 영화관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6월 영화관 이용 고객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월의 94%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 조사에선 여성보다 남성 관람객 증가 속도가 빨랐다. 상반기 남성 관람객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4.8% 늘어 2019년 상반기 증가율(100.0%)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용 비중 역시 2019년 상반기에는 여성(64.9%)이 남성(35.1%)을 웃돌았으나, 올해에는 남성 비율(50.1%)이 여성(49.9%)을 앞섰다.
또 어린이 및 청소년 관람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 10대 이하 연령의 상반기 이용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3.5% 증가했으며,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1.6배 가량 이용객이 늘었다.
그 외 연령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56.2%(20대), 179.8%(30대), 183.0%(40대), 147.3%(50대), 116.8%(60대 이상) 증가했다.
연령대별 이용 비중 조사 결과 20대(27.3%) 관람객이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25.7%), 30대(24.7%), 50대(14.4%), 60대 이상(4.5%), 10대 이하(3.4%)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에는 40대(28.6%)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OTT 서비스 미이용자(19%)보다 이용자(38%)의 영화관 방문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영화관 대신 OTT 수요만 증가할 거란 시장의 예상이 빗나간 셈이다.
프리미엄관(VIP관, 패밀리관, 프라이빗관 등 일반관을 제외한 모든 스페셜 상영관)의 인기도 부쩍 높아졌다. 올 상반기 일반관 이용은 14.2% 감소한 반면 프리미엄관 이용은 8.5% 증가했다.
정훈 롯데멤버스 데이터전략부문장 겸 상무는 “자신만의 특별한 경험을 위한 소비가 늘고 영화관에서도 프리미엄관 이용객이 증가했다”며 “영화관 내 매점에서도 단순 식음료 세트보다 굿즈 콤보, 캐릭터 콤보 등 마니아 층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는 상품이 포함된 세트의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