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SK텔레콤(SKT) 해킹 사태와 관련해 해외 5개국 수사기관과 공조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30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을 비롯한 5개국 수사기관과 공조하고 있고 해외 기업 18개사에 자료 협조를 요청해 수사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서버 접속 흔적이 있는, 분석 과정에서 확보한 100개 이상의 인터넷주소(IP)에 대해 추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이번 사건에서 파악된 악성코드와 로그기록을 분석해 IP 등 온라인상 흔적을 역추적하는 방식으로 공격 주체를 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SKT 경영진이 해킹 사태에 늑장 대처했다며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고발당한 사건도 수사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남대문경찰서에서 수사 중인 고발 6건의 고발인 조사를 다 마쳤고 참고인 조사도 했다”며 “나머지 피의자 조사는 수사 분석 후 절차에 따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SKT의 홈 가입자 서버(HSS)를 비롯한 여러 서버 시스템에 악성코드가 설치돼 민감한 개인 정보가 대거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와 국가정보원, SK텔레콤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이 조사한 결과 적어도 지난 2022년 6월부터 총 25종의 악성코드가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SKT는 가입자들에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유심칩을 교체할 것을 권고하면서 유심칩 대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나 중국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경찰은 수사 단계에서 특정된 바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