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8일 6·25 전사자 유해(두개골) 얼굴 복원 첫 번째 완료 사례를 공개했다. 국립 과학수사 연구원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한 프로젝트 결과다.
이번에 복원된 얼굴은 2013년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에서 발굴돼 지난해 10월 238번째로 신원이 확인된 9사단 소속의 고(故) 송영환 일병이다. 고 송영환 일병의 딸인 송재숙(76)씨는 1951년 3월 고인이 스물여섯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당시 겨우 3살에 불과해 아버지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다.
국유단은 어버이날을 맞이해 송씨를 초청해 아버지 고 송영환 일병의 유해를 바탕으로 완성한 ‘2D 표준영정’과 함께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고인의 헌신을 기리는 감사패를 전달했다. 송씨는 이날 처음으로 아버지를 마주하면서 영정 앞에 카네이션을 놓았다.
6·25 전쟁에 참전한 고 송영환 일병이 전사한 후 흙 속에 묻힌 유해가 세상의 빛을 보기까지는 62년 걸렸고, 신원확인까지는 11년이 더 걸렸다. 국유단과 국과수가 함께한 11개월 간의 노력 끝에 고 송영환 일병의 생전 얼굴을 복원할 수 있었다. 이날 수개월간 고심하면서 얼굴 복원 작업을 진행한 국과수 관계자에게도 표창을 수여했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호국영웅의 얼굴을 복원하는 것은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켜낸 분의 명예를 선양하는 것은 물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식”이라며 “앞으로도 6·25 전사자가 생전의 얼굴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국과수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