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2시 1분께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야간에도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림 당국이 29일 오전 해가 뜨자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진화 작업을 재개했다. 산림 당국은 이날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림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함지산 산불 진화율은 65%이다. 산불 영향 구역은 252㏊로 추산됐고, 전체 화선 11.8㎞ 가운데 불길이 잡히지 않은 곳은 4.1㎞이다.

산림 당국은 이날 일출과 동시에 대구 북구 노곡동·조야동 등 함지산 산불 현장에 진화 헬기 52대와 인력 1551명, 장비 205대를 순차적으로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대구 대형 산불 발생 이틀째인 29일 오전 대구 북구 산불 현장에서 헬기가 물을 투하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산불 현장에는 평균 풍속 초속 1m 이내의 북동풍이 불고 있다. 오전 8시부터는 평균 풍속 초속 1~4m인 서풍이 불 것으로 예보됐다. 현재 전날보다 바람이 다소 잦아들어 진화 작업을 펼치기 유리한 상황이다. 산불 확산 여부는 이날 오전 10시쯤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불은 전날 오후 2시 1분 노곡동 산12번지 일원에서 발생했다. 산불로 함지산에서 가까운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는 전날 오후 4시부터 톨게이트 양방향 진입·진출이 차단됐으나, 이날 오전 6시 30분부터 통행이 재개됐다.

이번 산불로 함지산 인근 북구 노곡동·조야동·서변동·구암동 주민 3514세대 6500명 가운데 661명이 팔달초·매천초·연경초·동평초와 동변중 등 5개 학교에 대피했다.

대구 대형 산불 발생 이틀째인 29일 오전 대구 북구 동변중학교 강당에 설치된 대피소에서 주민과 공무원 등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림 당국은 전날 해가 진 뒤에는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수리온 헬기 2대 등 공중진화대와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 등 인력 1515명, 고성능 산불 진화 차량 15대 등 장비 398대를 밤샘 투입했다.

산림 당국은 “건조한 날씨로 산불 확산 속도가 빨랐다”면서 “임도가 없는 험준한 지형에서 통로를 개척해가며 진화 작업을 이어가 야간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불 진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