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공사 현장을 찾아 안전시설 및 경보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23일 싱크홀(땅 꺼짐) 사고 대응을 위해 “대형 굴착공사장과 노후 상하수도 누수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공사 굴착 현장을 점검하며 “최근 (싱크홀 관련) 대형 사고는 대형 굴착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강동구 명일동과 경기 광명시 일직동 등에서 싱크홀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이날 지하 공사장에 대한 안전 점검을 위해 현장을 찾았다.

오 시장은 이날 지하 35m 깊이에서 진행되는 영동대로 3공구 공사 현장 현황을 점검했다. 이 공사는 코엑스 사거리(9호선 봉은사역)와 삼성역 사거리(2호선 삼성역) 사이 약 1㎞ 구간 지하에서 시설면적 21만㎡ 규모 광역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는 것이다.

오 시장은 “(노후 상하수도관과 지하 굴착 공사장) 두 가지를 다 챙겨야 한다”며 “대형 굴착 공사장을 대상으로 월 1회 GPR 탐사를 하고 안전 관리비를 대폭 늘려 공사비에도 반영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노후 상하수도관 누수와 관련해 “상수도관보다 하수도관이 문제”라며 “지금까지 연간 2000억원을 들여 100㎞를 개량했지만, 내년부터는 연 4000억원, 200㎞ 규모로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 시장은 싱크홀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제작한 우선정비구역도(안전 지도)를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부동산 가격을 의식해 정확한 지도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오해가 있다”며 “GPR로 지하 2m까지 볼 수 있는데 그거라도 일단 이뤄지면 바로 공개하겠다”고 했다.

서울시는 지하공간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담 조직인 ‘지하안전과’도 신설하기로 했다. 현재 9명으로 구성된 2개팀으로 운영되던 조직을 30여명 규모의 과 단위로 확대해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간 전문 인력도 영입해 공동 탐사와 분석 역량도 보강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