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기초 지방자치단체 227곳 중 절반 이상이 노인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17개 광역 지자체 중에서는 부산이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빨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3일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겨울호에는 ‘지역별 고령화와 고령층 노동시장 현황’ 보고서가 실렸다. 안준기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통계청 자료를 이용해 광역·기초 지자체 고령화 정도와 속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연평균 0.677%포인트씩 높아졌다. 광역 지자체 중에서는 고령화 속도가 부산이 0.968%포인트로 가장 빨랐다. 이어 울산 0.839%포인트, 대구 0.807%포인트, 강원 0.791%포인트, 경북 0.789%포인트, 경남 0.774%포인트 순이다. 노인 인구 비율이 줄어든 곳은 세종(-0.04%포인트)뿐이다.
기초 지자체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지역은 2015년 33.2%에서 2022년 51.6%로 증가했다.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기초 지자체는 경북 의성(44.7%)이다. 전남 고흥(43.0%), 경북 군위(42.6%), 경남 합천(42.0%), 전남 보성(41.6%), 경북 청송(40.6%), 경북 영양(40.2%), 경북 봉화(40.1%) 등도 고령화 비율이 40%를 넘었다.
고령화 속도는 인구구조가 자연적으로 변화하는 것보다는 65세 미만 생산가능인구와 이들의 자녀로 추측되는 15세 미만 인구 순유출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군 단위 지역에서는 65세 이상 인구가 유입되면서 고령화 속도가 더 빨라졌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령대별 순이동률을 살펴본 결과 수도권과 세종,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 지자체에서 청년(20~35세) 인구가 급격하게 순유출됐고, 노년층(65 이상) 인구의 순유입 증가가 완만하게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대구·울산·경북에서 수도권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안준기 부연구위원은 “지역 고령화는 지역소멸, 일자리 문제, 지역 양극화 문제 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고령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균형발전 등으로 지역 산업구조를 생산성 높은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