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 = 챗GPT 달리

올해 들어 국내 증시 대형주들의 희비가 크게 엇갈리며 시가총액 순위에도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원전주와 조선주는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으로 진입한 반면, 자동차 업종은 순위가 크게 하락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월 30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8개 종목의 순위가 작년 말 대비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만이 각각 1위와 2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가장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인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로, 작년 말 37위에서 13위로 뛰며 24계단이나 올랐다. 시가총액도 14조원 넘게 늘었는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원전 정책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종목의 올해 주가 상승률은 무려 130%에 달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역시 군비 확장 분위기와 실적 기대감에 힘입어 27위에서 6위로 21계단 상승했다.

조선 업종도 미국과의 협력 및 글로벌 공급망 변화 기대감에 순위가 크게 올랐다. 한화오션(042660)은 33위에서 15위로, HD한국조선해양(009540)은 24위에서 17위로 각각 상승했다.

금융주들도 대선 이후 차기 정권의 증시 부양 기대감에 따라 상위권에 진입했다. 하나금융지주(086790)는 23위에서 19위로, KB금융(105560)은 8위에서 5위로 순위가 올랐다. 그 외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삼성물산(028260) 등 일부 대형주들도 소폭이나마 순위가 상승했다.

반면, 자동차와 이차전지 업종은 미국발 관세와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 등에 주가가 하락세였다. POSCO홀딩스(005490)는 시가총액 순위에서 7계단 떨어지며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고, LG에너지솔루션(373220)도 3위에서 4위로 밀렸다. 현대모비스(012330)는 12위에서 16위, 기아(000270)는 7위에서 10위, 현대차는 5위에서 7위로 각각 내려앉았다.

전문가들은 원전·조선·방산 업종의 실적 개선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면서도, 단기적으로는 주가 상승 속도가 조절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금융주는 대선 이후 정책 기대가 반영된 만큼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원전·조선·방산업종의 경우 수주나 실적 개선이 지속되고 있어 이들 업종의 시장 주도력이 크게 바뀔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단기간에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이 팽창되다 보니 속도 조절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