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기 때처럼 ’90일간' 관세 부과를 유예하며 협상에 돌입했다. KB증권은 2018년 당시와 비교할 때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변하지 않았다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결정이 관건이라고 15일 평가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90일 유예하면서 코스피지수는 2~3개월간 200일 이동평균선 부근까지 13% 반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시에 “협상이 좋았다” “곧 마무리될 것”이라는 긍정적 발언을 쏟아낸 덕분이었다. 그러다가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4개월 만에 돌연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안심시킨 뒤 충격을 주면’ 더 많이 얻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며 “어쨌든 지금은 협상의 시간이고 과거와 비슷하다면 앞으로 일부 관세 완화와 몇몇 국가와의 협상 타결, 중국과의 협상 등을 상상할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증시가 오름세를 탈 수 있었던 한 축은 파월 의장의 긴축 중단이었다고 이 연구원은 평가했다. 파월 의장은 2018년 10월 “중립금리가 한참 남았다”고 말하며 글로벌 증시의 급락을 불러왔고, 이어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금리 인상을 고집했다. 결국 증시 폭락이 나타나고서야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 중단을 선언했다.
파월 의장이 이번에도 완화정책에 나서는지가 증시에 중요하다는 의미다. 이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보다 디플레이션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전망했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려면 기업이 가격에 관세를 전가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관세가 몇 퍼센트(%)로 확정될지 모르는 점 ▲기업이 재고를 쌓아둔 점 ▲트럼프 대통령이 가격 인상을 하지 말라고 경고한 만큼 이를 눈치 봐야 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곧바로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연구원은 “만약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 컸다면 단기 국채금리가 지속해서 상승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금은 다시 하락한 상태”라고 했다.
결국 연준이 완화 정책을 펴기에 상황은 괜찮지만, 실물 지표를 중시하는 파월 의장의 성향이 바뀔지가 문제다. 파월 의장은 오는 16일 공개 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이 연구원은 “데이터 의존을 고집하는 파월 의장이 선제적으로 움직일지는 미지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