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 GPT

이 기사는 2025년 5월 19일 16시 18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외부 전문기관을 선정해 기업구조혁신펀드 투자 타당성을 검토한다. 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기업회생과 워크아웃 절차를 밟는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데다, 과거에 비해 사후적 구조조정 투자 난도가 오르면서 외부 조언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캠코는 기업구조혁신펀드 모·자펀드 운용 등 법무 자문과 투자타당성 검토 등 재무 자문을 위한 외부 전문기관 선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법률 자문사로는 법무법인 지평이 단독으로 입찰에 나섰고, 재무 자문사로는 삼정회계법인, 우리회계법인, 삼화회계법인, 한울회계법인 등 4개사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1순위로 삼정회계법인이 선정됐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국책은행 중심으로 진행하던 구조조정을 자본시장에서 전담하기 위해 2018년 출범한 정책 펀드다. 정부와 국책은행 등으로부터 출자를 받아 모(母)펀드를 조성한 뒤 위탁운용사(GP)로 선정된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모펀드 출자금을 토대로 민간 매칭을 거쳐 자(子)펀드를 결성하는 방식이다. 1호·2호·3호는 한국성장금융, 4호부터는 캠코가 모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캠코는 2027년까지 총 4조원의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작년 추진한 5호 펀드의 경우 모펀드에서 5000억원을 출자하면 운용사들이 자펀드를 결성해 총 1조원 규모의 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출자 사업을 진행할 때마다 1조원가량의 펀드가 생기는 구조로, 4번의 출자 사업을 거듭하면 목표치에 도달하는 셈이다.

캠코가 외부 전문기관을 찾는 이유는 최근 한계에 도달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여름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빚은 티몬과 위메프, 신용등급 하락으로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 발란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연이어 도산 절차를 밟고 있다. 실제로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4월 말까지 법인회생 사건 접수 건수는 138건으로, 전년 동기(108건) 대비 약 27.8% 늘었다.

다만 기업회생 절차가 개시된 기업에 유동성을 투입하는 사후적 구조조정의 투자 난도가 높다는 점이 문제다. 구조조정 펀드를 운용하는 하우스의 한 관계자는 “이미 회생 절차에 돌입한 기업에 투자하는 사후적 구조조정보다 회생 절차가 개시되기 전인 사전적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캠코도 5호 펀드부터 사후적 구조조정 범위를 회생 절차 기업과 워크아웃 기업에서 신용위험평가 C등급까지 확대했다.

캠코가 올해 블라인드 펀드 출자 사업을 잠시 멈추고 프로젝트 펀드 출자 위주로 진행한다는 점도 외부 자문사를 선정한 배경으로 꼽힌다. 캠코는 기업구조혁신펀드 사업을 진행할 때마다 프로젝트 펀드 출자 금액을 따로 빼두는데, 마땅한 투자처가 없어 현재까지 수천억원이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젝트 펀드는 딜이 들어올 때마다 검토 후 수시로 출자해야 하기 때문에 자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캠코와 자문사의 계약 기간은 최소 2년이다. 캠코가 요청하는 딜을 검토한 후 보고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계약 기간 동안 프로젝트 20건, 블라인드 10건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며 “투자 대상 회사에 대한 실사와 가치평가 자료 및 재무제표 검토는 물론, 투자금에 대한 회수 가능성과 구조조정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등의 업무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