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뉴스1

금융감독원이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저축은행 10여곳에 현장검사에 나선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추진 과정에서 부실 사업장 정리를 미루고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저축은행들이 대상이다.

18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주 자산 규모 2위 OK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돌입한다. 금융당국은 올 하반기까지 10여곳을 선별해 현장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간 현장점검이나 예금보험공사와의 공동검사를 위주로 저축은행 건전성을 관리해왔던 금감원이 직접 칼을 빼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OK저축은행에는 13조원대의 자산 규모를 감안해 대규모 검사 인력을 투입한다. 통상적인 저축은행 검사 인력 규모(6~7명) 대비 2~3배에 달하는 인원이 현장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부실 정리와 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전반을 살펴볼 계획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6월부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바꾸고 부실 사업장의 신속한 정리를 유도해왔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은 부실 정리가 지연되면서 연체율이 꺾이지 않고 있다. OK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이 9.05%를 기록했는데, 이는 업권 평균(8.52%)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SBI저축은행(4.97%), 웰컴저축은행(7.50%), 애큐온저축은행(5.36%), 한국투자저축은행(8.13%) 등 다른 5대 대형사와 비교해서도 높다. 금융당국은 OK저축은행이 부실 자산 정리에는 소극적이면서도 인수·합병(M&A)을 통한 외형 확장 시도에는 적극적인 점에도 문제 의식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