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 본점 전경. /수협중앙회 제공

지난해 2725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수산업협동조합이 부실 조합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수협은 지난해 89개 단위조합 중 절반인 43곳이 순손실을 기록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은 전국 조합의 부채와 자산을 평가하고 부실 조합을 지정하기 위해 회계법인을 선정하고 있다. 수협은 회계법인 선정을 마무리하면 3개월에 걸쳐 전체 조합 자산 실사를 진행한다.

수협은 실사를 통해 순자본비율(자본/총자산) 2% 미만인 조합을 솎아내고 평가 결과에 따라 회생 가능성을 판단하기로 했다. 순자본비율 2%는 수협 단위조합의 최소 자본 기준이다. 수협은 평가 결과에 따라 부실 조합에 대한 통폐합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수협이 조합 구조조정에 착수한 이유는 적자 누적 때문이다. 수협은 지난해 275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도 (575억원 적자) 대비 적자 폭이 4.7배가량 증가했다. 2023년 841억원의 이익을 봤던 신용 부문이 지난해엔 1418억원의 적자를 보인데 따른 것이다.

일러스트=손민균

부실조합도 늘고 있다. 지난해 89개 단위조합 중 43곳이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날 현재 경영공시를 한 67개 조합 중 경영실태평가에서 4등급(취약)을 받은 단위조합은 7개에 달했다. 경영실패평가는 1~5등급으로 나뉘는데, 4~5등급의 경우 재무상태개선 권고 혹은 요구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조합은 순자본비율이 0% 이하로 떨어져 자본잠식상태에 빠졌다.

금융권에선 수협을 시작으로 상호금융권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새마을금고는 1조7382억원, 신용협동조합은 341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각각 기록했다. 이미 새마을금고는 올해 1분기에만 7곳이 사라졌으며, 신협도 최근 경북 영주 지역의 알찬신협과 영주장수신협을 합병했다.

금융 당국은 ‘동일 업무-동일 규제’ 원칙으로 상호금융업권에 따라 상이한 자본금 규제 등을 정비할 방침이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 다음 구조조정 대상은 상호금융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며 “업권별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