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8% 상승세이다. LS ELECTRIC(010120) +10.27%, 포스코DX(022100) +8.24%, CS(065770) +6.58%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효율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시스템✔ 정부, 스마트그리드에 5년간 3.7조원 투자키로✔ 폭염으로 전력 수급 우려 시 관련주 부각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전기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는 전력망. 차세대 에너지 신기술로 꼽힘.
스마트그리드 핵심 장비는 AMI(원격검침 인프라). AMI란 기존 디지털 전력량계에 모뎀을 설치해,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전력 계량 인프라. 이외 ESS(에너지저장장치), EMS(에너지관리시스템) 등도 주요 구성요소.
스마트그리드와 기존 전력망의 차이는 양방향 통신, 실시간성, 분산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음. 스마트그리드는 AMI를 통해 전력공급자와 수요자 간 전력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음. 또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통한 전력공급과 이를 저장하는 ESS설비로 분산 체계를 갖추고 있음(출처: 한국전력공사).
정부(산업통상자원부)는 향후 5년간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에 3조 7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힘.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해 전력공급 안정과 소비 유연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목표(2023.02.14).
국내 스마트그리드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CAGR) 4%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 재생 가능 에너지 용량 증가와 정부 정책으로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크 시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음(출처: Mordor Intelligence).
한편, 스마트그리드 관련주는 폭염 등으로 전력 수급 우려 시 부각받은 바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LS ELECTRIC(010120)+10.27%전기공급 및 전기제어장치 제조사. 소비자전력관리장치(지능형분전반) 및 스마트계량시스템을 시범 운영중. 또한 원격검침시스템 및 AMI System(양방향 통신에 기반한 전력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발.
포스코DX(022100)+8.24%스마트그리드 사업 등 친환경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집중 추진. 지식경제부주관의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에 참여하여 Smart Renewable 분야의 기술 구현. ESS 기반의 국내외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본격화.
CS(065770)+6.58%이동통신 및 WiBro 중계기 전문 통신장비 업체. 지그비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원격 전력공급 제어장치를 개발 및 공급한 경험 보유.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인 제주도에 시범설치 운영 사업자.
코콤(015710)+4.04%스마트 홈 시스템(IoT/홈 네트워크 시스템, 홈 오토메이션), 비디오 도어폰, 도어폰, 인터폰, CCTV시스템, LED 조명 시스템, SI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에너지효율 모니터링을 위한 디스플레이 제품 생산.
비츠로셀(082920)+3.20%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사. 리튬일차전지는 스마트그리드 산업의 핵심 인프라망인 스마트미터(계량기)의 핵심 부품.
광명전기(017040)+2.84%개폐기, 차단기 등을 생산해 한국전력공사 등에 공급.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력을 보유한 피앤씨테크 지분 29.6%도 보유. 또한 피앤씨테크와 스마트그리드 구축 및 사업화를 위한 TFT(Task Force Team)를 구성하여 활동.
옴니시스템(057540)+1.86%디지털 전력량계(전력량 측정), 디지털 설비미터(수도, 온수, 가스, 난방량 측정), 원격검침시스템, 스마트그리드 및 홈네트워크 사업을 영위. 원격검침이 가능한 디지털 전력량계를 국내 최초로 개발.
일진전기(103590)+1.81%지능형 원격검침시스템 등의 스마트그리드사업 영위. 친환경 초고압 케이블 국책과제도 참여 중.
일진홀딩스(015860)+1.49%스마트그리드사업을 영위하는 일진전기(지분 56.9%)를 자회사로 보유.
스맥(099440)+1.48%한국전력의 지능형 배전자동화 시스템용 디지털 TRS(무선자가통신망) 인프라 환경 개선 사업의 사업자로 선정. 한국전력의 TRS 고도화 및 전체적인 운영사업, 자동원격검침사업(AMI) 사업에도 참여 중.
피앤씨테크(237750)+1.11%전력계통의 배전분야에서 정전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디지털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전력 IT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배전자동화단말장치(FRTU/FTU), 디지털보호계전기,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고장점표정장치, 전자식전력량계, 자동소화장치 등. 모든 제품이 통신모듈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등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력 보유.
누리플렉스(040160)+1.08%무선통신 솔루션 전문업체. 통신 SW 기반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IoT(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검침 인프라(AMI) 솔루션을 주력사업으로 다양한 응용사업 즉, 스마트그리드 및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사업을 중점적으로 공급.
아이앤씨(052860)+0.73%시스템 반도체 팹리스(Fabless) 기업.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필수인 전력 검침기용 모뎀 및 다양한 IoT 플랫폼에 적용되는 와이파이(WiFi)칩 보유.
이글루(067920)+0.58%통합보안관리솔루션(ESM) 및 보안관제서비스(MSS) 등을 제공하는 정보보안관리 전문업체. 제주도 실증단지 스마트그리드 컨슈머 분야 컨소시엄에 참가해 보안관제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
한국전력(015760)+0.24%2010년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 수립 이후 지능형원격검침인프라(AMI) 보급 사업을 진행.
한전산업(130660)-0.26%검침사업(검침, 송달, 단전, 중계, 인터넷빌링 등)과 발전사업(운전, 탈황, 회처리, 정비, 해외사업 등), 신재생 에너지사업(ESCO, 바이오매스, 태양광(열)발전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지능형전력량계, AMR서버 등)도 진행.
피에스텍(002230)-0.38%전력기기사업(각종 전력량계 및 원격검침시스템 생산, 판매) 영위업체. 2009년12월 정부 정책사업인 스마트그리드 시범단지인 제주실증단지 사업에 LG전자 컨소시엄(스마트플레이스 분야)과 한전 컨소시엄(GPS 시간 교정시스템)에 참여.
서전기전(189860)-0.50%고압/저압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자동제어반을 제조 및 판매. 스마트그리드시스템사업 영위중.
지투파워(388050)-1.09%상태감시진단(CMD) 기술 기반으로 스마트그리드 설비·솔루션 사업 영위. 주요 제품은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 등.

스마트그리드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15.42%
1개월 등락률 +6.08%
1주 등락률 +2.36%

[이 컨텐츠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봇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