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4월에도 10조원 가까이 순매도하며 9개월 연속 ‘셀 코리아(Sell Korea)’를 눈앞에 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지분율은 30% 초반까지 낮아졌다. 다만 순매도 강도는 둔화하고 있다. 외국인의 국내 복귀 시점이 다가온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러스트=챗GPT 달리3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5일까지 외국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9조7938억원을 순매도했다. 아직 3거래일이 남긴 했으나, 순매도 규모가 워낙 커 외국인의 9개월 연속 ‘팔자’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이 경우 역대 2위 기록이 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의 역대 최장 순매도 기간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 6월부터 2008년 4월까지 11개월이다. 또 외국인의 코스피 월간 순매도 규모 역대 1위는 팬데믹 발생 직후인 2020년 3월의 12조5550억원이다.

외국인 자금의 장기 유출로 지난해 7월 말 35.65%였던 코스피 외국인 지분율(시가총액 기준)은 이달 24일 기준 31.52%로 낮아졌다. 2023년 8월 30일 이후 최저치다.

이 기간 외국인의 누적 순매도액은 38조9354억원이다. 이 중 24조4349억원이 삼성전자(005930) 한 종목에 집중됐다. 순매도 2위 현대차(005380)(2조888억원)와 비교해도 12배가량 많다. 60%에 근접했던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현재 50% 수준으로 낮아졌다.

다만 최근 외국인의 순매도 강도는 둔화하고 있다. 이달 초·중순만 해도 외국인의 일일 순매도 규모는 1조~2조원대였지만, 월말을 향하면서 1000억∼2000억원대로 줄었다. 시장 일각에선 “외국인이 곧 돌아올 것”이란 말이 나온다.

원화 채권에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점도 시장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외국인이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것일 뿐 한국 시장 자체를 떠난 건 아니라는 주장에 힘이 실려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