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새로 조성하는 공공주택지구를 입체적으로 도시공간을 계획한 ‘Brand New City(브랜드 뉴 시티)’로 조성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도시민의 생활 트렌드를 분석해 거주민들의 수요를 도시계획 초기 수립단계부터 반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규 공공주택지구는 보행중심 도시로 조성될 계획이다. 젊은층이 거주하는 행복주택과 신혼희망타운이 서로 이어지도록 배치하고 인근에 공원, 학교, 어린이집과 같은 육아지원시설과 문화·편익시설을 보행으로 끊김 없이 연결되도록 보행특화가로를 조성하는 것이 그 예다.
중심상업지역에는 BA(블록건축가) 제도를 적용한다. 상업지역에 대한 디자인 향상계획을 수립해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하고, 건축 설계와 공사를 시행할 때 BA 자문을 거치도록 하는 제도다. 상가지역 전체 디자인 설계부터 지역 명소가 되는 랜드마크형 건축물까지 다양하게 들어설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LH는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상가 공실 해소를 위해 계획 초기단계부터 사회 트렌드와 소비패턴 변화를 반영한 상업시설 계획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초기에 대거 상가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량의 상가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또 공공주택지구의 자족용지 등을 활용, 청년창업 지원 플랫폼을 만들어 청년주거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도심지 안에 주차장을 건립하고 공공임대형 상가를 함께 공급해 택지 조성 초기 입주민들의 생활 불편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LH는 구리갈매역세권 등 신규 택지지구의 사업계획을 이런 방식으로 수립 중이다. 성남금토 등을 대상으로 입체적 특화설계 공모를 시범 시행하는 등 새로운 도시개발체계를 구축 중이다.
박상우 LH 사장은 "사회적 가치를 더해 더 많은 공공이익을 창출하는 Brand New City 개념이 기존 도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