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31일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대리운전 시장에 진출한다. 카카오는 카카오 드라이버를 출시하면서 전국 대리운전 기사의 40%가 넘는 약 5만명의 대리운전 기사회원을 확보하고 시장 선점에 나섰다.

업계에서는 카카오 드라이버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에 안착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치면서 이를 계기로 카카오가 O2O(Online to Offline·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서비스를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수수료 책정 문제, 골목상권 침해 논란 등 일부 대리운전 기사들의 반발을 어떻게 해결할 지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 카카오 택시 이어 카카오 드라이버도 출시…하반기 주차, 미용, 홈클린 등 O2O 서비스 시장 공략 본격화

카카오(035720)는 이날 카카오 드라이버의 승객용 애플리케이션(앱)을 출시하고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카카오 드라이버 앱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면 운행을 원하는 대리운전 기사와 연결된다. 기본요금은 1만5000원이다. 요금은 자체 앱미터기를 통해 거리와 시간에 따라 1000원 단위로 실시간으로 책정된다.

카카오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카카오 택시와 마찬가지로 대리운전 기사와 고객은 카카오 드라이버 앱을 통해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을 시작하면 카카오내비를 통해 설정된 경로로 길이 안내되고 앱화면에 실시간으로 요금이 표시된다. 운행이 끝나면 카카오페이를 통해 등록해둔 카드로 요금이 자동 결제된다.

카카오 드라이버는 이용자들이 대리운전 이용시 느끼던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심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용자의 전화번호는 기사에게 일회용 안심번호로 보이며 기사와 승객 간 메시지 전송도 앱 내에서 가능하다.

카카오 관계자는 “대화 내역은 목적지 도착 시점에 모두 삭제된다”며 “카카오 택시와 마찬가지로 운행을 시작하면 카카오톡 친구들에게 출발지, 목적지, 탑승 시간, 기사 정보 등 등을 포함한 안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카카오 드라이버 출시를 기점으로 O2O 서비스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카카오 주차’, ‘카카오 헤어샵’, ‘카카오 홈클린’ 등 신규 O2O 서비스도 하반기에 잇따라 선보인다.

김창권 미래에셋대우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의 미래 성장 잠재력은 대리운전 서비스의 성공 여부에 달렸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 드라이버는 카카오 택시 성공을 바탕으로 카카오가 지난 1년여간 가장 적극적으로 준비한 신규 사업”이라며 “현재 3조원 수준인 국내 대리운전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황승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카카오는 대리운전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으로 1000억원 내외의 영업이익까지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여기에 주차, 헤어샵, 홈클린 등 연내 서비스 예정인 O2O 서비스 라인업이 확보되면 이에 기반한 실적 개선도 가시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 수수료 책정 반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은 ‘넘어야 할 산’

카카오는 승객용 앱 출시에 앞서 올해 3월 기사용 앱을 먼저 선보이고 기사회원을 모집하며 서비스를 준비해왔다. 카카오는 당시 대리운전 기사의 보험료를 직접 부담하기로 하면서 대리운전 업계로부터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카카오 드라이버 기사회원이 스마트폰을 통해 기사용 앱을 실행하고 있는 모습.

카카오는 카카오 드라이버 서비스 수수료를 20%로 책정하고 보험료뿐 아니라 프로그램 사용료, 예치금 제도, 호출 취소 수수료, 업체 관리비 부과, 프로그램 사용 제한 등 불합리한 관행도 없앴다. 그간 대리운전 기사들은 운행 요금의 20~40% 수준의 수수료를 대리운전업체에 납부해왔다. 또 대리운전 업체에 연평균 100만원 이상의 보험료와 월 4만~5만원 가량의 대리운전 프로그램 사용료를 지급했다.

다만 일부 대리운전 기사들이 “20%의 수수료도 너무 높다”면서 수수료 책정에 반발하고 있어 카카오 드라이버 운영과정에서 마찰도 예상된다. 또 골목 상권 침해 논란도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한국대리운전업협동조합은 “카카오가 골목상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중소기업청에 사업조정 신청을 냈다. 이 단체는 카카오에 대리 기사를 직접 모집하는 대신 기존 업체를 통해 기사를 확보하고, 지방에서는 당분간 사업을 벌이지 말라고 요구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최근 홈페이지에 대리운전 부조리 신고센터를 개설하고 오는 8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정주환 카카오 O2O 사업부문 총괄 부사장은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을 통해 카카오 드라이버가 이용자와 종사자 모두에게 사랑 받는 플랫폼으로 자리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