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에서 마포로 이어지는 총 6.3㎞의 경의선숲길 공사가 5년 만에 완료됐다.

서울시는 '경의선숲길' 도시재생사업의 마지막 3단계 구간(총 1446m) 조성 공사를 마치고 21일 개방한다고 19일 밝혔다.

경의선숲길 신수동 구간 공사 전(왼쪽)과 공사 후(오른쪽) 모습.

이번에 추가 개방되는 경의선숲길 3단계 구간은 ▲와우교 구간(366m) ▲신수동 구간(390m) ▲원효로 구간(690m)이다.

신촌과 홍대 사이에 있는 와우교 구간은 과거 기차가 지나갈 때마다 건널목 차단기의 신호음이 ‘땡땡’ 울린다고 해서 '땡땡거리'라고 불린다.

시는 이 공간에 기찻길과 역무원, 아기를 업은 엄마를 형상화한 조형물을 설치했다. 또 홍대거리의 예술·공연 문화와 연계하기 위해 공연마당과 다목적 소광장을 별도로 조성했다.

서울시는 신수동 구간에 1993년 지하화된 일제강점기 인공하천인 ‘선통물천’을 재현한 실개천을 만들었다. 잔디마당 등 인근 서강대학교 학생들이 교류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들었다. 경의·중앙선 1번 출구와도 연결된다.

시는 경의선 철도 지하화가 시작된 곳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원효로 구간에는 옛 화차와 1906년 개통된 옛 경의선을 설명하는 히스토리월(History Wall)을 설치했다.

경의선숲길 프로젝트는 2005년 지하화를 시작한 경의선 상부 유휴부지 10만2008㎡를 시민 휴식공간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했고 시는 공사비로 457억원을 투입했다.

특히 작년 6월 개장한 연남동 구간은 ‘연트럴파크’로 불리며 서울의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서울시는 경의선숲길을 시 최초로 ‘시민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공원’으로 만들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경의선숲길 운영을 담당하는 ‘경의선숲길 지역 협의체’를 21일 발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