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시장 상황을 두고 한 인물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미국의 경제 대통령', '통화정책의 신(神)의 손'이라 불렸던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바로 화제의 인물이다.
'그린스펀의 수수께끼(Greenspan's Conundrum)'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시장금리(특히 장기 채권 금리)가 따라서 오르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2005년 2월, 그린스펀 당시 연준 의장이 미 상원에 제출한 통화보고서에서 "세계 채권시장에서 지금 예기치 못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런 움직임은 수수께끼(Conundrum)와 같다"고 언급한데서 비롯된 표현이다.
미 연준은 지난 2004년 6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경기과열과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1.0%에서 4.75%까지 15차례에 걸쳐 총 375bp(1bp=0.01%P)를 올렸다. 같은 기간 미국 채권시장의 대표 시장금리인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62%에서 4.85%로 23bp 상승에 그쳤다.
기간을 좀 더 줄여보면, 2004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미국의 기준금리가 1.0%에서 3.50%까지 오르는 동안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7%대에서 3.9%로 떨어졌다.
4년 전, 미국에서 '그린스펀의 수수께끼'가 발생한 이유는 해외에서 온 자금이 미국 채권을 매수해 미국 채권 가격을 높였다는 것(채권 금리 하락)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의 무역흑자국들이 미국을 상대로 벌어 들인 자금이 다시 미국 국채를 사기위해 미국에 들어와 미국 채권 가격을 올려놨다는 것이다.
기준금리의 인상에도 불구하고 장기물을 중심으로 시장금리는 오히려 하락하는 현상, 즉 '그린스펀의 수수께끼'가 최근 국내 채권시장에서도 일어나는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생기고 있다. 채권 금리가 최근들어 급격한 하락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10년 국채를 비롯해 중장기물 채권 금리는 2009년 초 수준까지 급락한 상태다.
시장금리를 떨어뜨리고 있는 원인에 대해서 중국 자금을 비롯한 해외자본의 유입, 글로벌 채권시장의 강세와 동조화 현상, 국내 경제에 대한 신뢰 등 여러가지가 이야기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한 상황에서 '그린스펀의 수수께끼'에 빠져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이 무력해지는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생긴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 아닐까.
입력 2010.09.01. 06:51
오늘의 핫뉴스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