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관우 서강대 바이오계면연구소 교수 연구진이 민준홍 중앙대 융합공학과 교수 연구진과 공동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와 3차원 구조, 단백질 특성, 유전정보까지 유사하지만 전염성은 없는 인공 바이러스를 실험실에서 합성했다./서강대

서강대는 신관우 바이오계면연구소 교수 연구진이 민준홍 중앙대 융합공학과 교수 연구진과 공동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와 3차원 구조, 단백질 특성, 유전정보까지 유사하지만 전염성은 없는 인공 바이러스를 실험실에서 합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인공적으로 합성한 바이러스는 실제 바이러스와 형태가 매우 흡사하다. 세포막 외부에는 코로나로 불리는 S-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이 붙어 있고, 세포막 내부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리보핵산(RNA)으로 구성된 유전정보와 N-단백질(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등이 실제 바이러스와 동일하게 포함되어 있다.

실제로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코로나19 진단기기들은 이 인공 코로나 바이러스를 모두 실제 바이러스로 진단했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신속 진단키트는 S-단백질이나 N-단백질의 항원-항체 반응이나, RNA를 이용한 유전정보 증폭을 통해 바이러스를 판별한다.

그러나 실제 바이러스와 달리 인공 바이러스는 대부분의 단백질과 RNA가 진단키트에 검출 가능한 국부적인 단편만을 가지고 있어, 실제 질병을 유발하거나 전염성은 전혀 없다.

바이러스는 시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종이 나타나며, 그 감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진단키트가 필요하다. 이때 새로운 변종이 나올 때마다 환자에게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해 진단 정확도를 확인해야 하며, 이는 엄격히 관리되는 시설에서만 실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인공 바이러스는 일반 실험실에서도 진단키트의 검출 감도나 진단 여부를 손쉽게 검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신관우 교수는 “바이러스의 특징적인 단백질들을 하나씩 인공 세포막에 조립해 가는 합성생물학의 인공세포 기술을 활용했다”며 “새로운 변종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왔을 때 그 대응으로 개발된 진단키트나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시약의 검출 감도 등을 일반 실험실에서 손쉽게 검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테라퓨틱스(Advanced Therapeutics)’에 지난 4월 28일 게재됐으며, 6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참고 자료

Advanced Therapeutics(2025), DOI: https://doi.org/10.1002/adtp.2024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