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지원하는 집단연구 지원 체계 개편에 나선다. 대학이 대형·융복합 연구거점이 될 수 있도록 집단연구 지원 체계를 바꾸는 게 핵심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초연구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논의하는 ‘제3차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열린 1·2차 전략대화에서는 기초연구 비전과 개인기초연구 지원 체계 개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은 ‘대학 연구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집단연구 지원체계’를 다뤘다. 집단연구는 1990년 당시 과학기술처 시절 우수연구센터 사업을 통해 시작됐다. 지금은 선도연구센터라는 사업으로 진행된다. 1990년부터 2024년까지 약 4조1000억원이 집단연구에 투입돼 지금까지 8만여편의 논문과 7000여개의 특허가 나왔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집단연구는 단순히 연구자가 모여 각자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넘어,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결합해 도전적이고 파괴력 있는 연구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정체돼 있는 연구비의 상향 조정, 참여 대학 간 지식재산권(IP)의 공동 소유 및 활용 촉진, 참여 연구인력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부의 집단연구 지원체계를 세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규모에 따른 연구그룹의 성장과 조직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성장형 트랙’을 신설하고, 우수한 연구그룹의 보다 심화된 연구를 지원하는 후속연구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는 ‘심화형 트랙’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회의를 주재한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통해 ‘집단연구 다운 집단연구’, ‘대학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집단연구’를 위한 실질적인 집단연구 지원체계 개선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며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통해 제시된 정책 대안들을 속도감 있게 구체화하고 2026년 예산 편성 단계부터 적극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