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주택 가격이 높고, 1인당 보험료가 높은 지역일 수록 공기의 질이 나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대형 도로와 주택단지가 함께 개발되고, 산업단지 주변에 인구가 집중되는 한국만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형주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와 김나래 통합과정생 연구팀은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해 국내 전역의 이산화질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환경과학&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실렸다.
이산화질소는 자동차 배기가스와 발전소에서 주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다른 대기오염물질보다 반응성이 크고, 대기 중 체류 시간이 짧아 지역별로 농도 차이가 크다. 하지만 지상 측정소의 수가 제한적이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 그동안은 수㎞ 단위의 넓은 지역의 평균값만 추정해 왔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트로포미(TROPOMI) 위성에서 수집한 이산화질소 데이터와 교통 관련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전역의 이산화질소 농도를 500m 단위로 정밀하게 추정했다.
이 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의 이산화질소 지상 측정망이 실제 인구 노출 수준을 얼마나 정확히 반영하는지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라 측정소 데이터가 실제 이산화질소 노출 수준을 최대 11%까지 과소평가하거나 61%까지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이산화질소 노출 차이도 분석했다.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한국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 이산화질소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주택 가격과 1인당 보험료를 바탕으로 지역을 세분화했고, 각 지역별 이산화질소 농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주택 가격과 1인당 보험료가 높을 수록 이산화질소 농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한국에서는 주택 가격이 밀집된 도심 지역에서 더 높으며, 이러한 지역은 일반적으로 높은 인구 밀도를 갖고 있다”며 “이들 지역은 비교적 높은 소득 수준을 가지고 있지만, 높은 대기 오염 수준도 동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형주 교수는 앞으로 이산화질소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오존 등 다양한 대기오염물질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 자료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2025), DOI : https://doi.org/10.1021/acs.est.4c10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