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지난해부터 사업장이 있는 여수 앞바다 대경도 인근 잘피 군락지 복원에 나섰다. 사진은 잘피 서식지 복원이 이뤄지고 있는대경도 앞바다 인근./조선비즈

땡스카본과 LG화학이 여수 대경도 인근에서 잘피 서식지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땡스카본은 2023년 10월 전남 여수 앞바다 대경도 인근에 잘피 5만주를 이식한 데 이어 2024년 11월에 2만주를 추가 이식했다고 26일 밝혔다.

잘피는 바다 속에서 꽃을 피우는 해초류로, 맹그로브 숲, 염습지 등과 함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공식 인증한 3대 해양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 가운데 하나다. 블루카본은 바다와 습지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로, 육상의 탄소흡수원인 그린카본(Green Carbon)보다 탄소흡수 속도가 50배 더 빠르고, 탄소 저장 능력도 5배 이상 높은 것이 특징이다.

땡스카본과 LG화학은 두 차례에 걸친 모니터링을 통해 잘피 서식지 복원이 해양 생태계 회복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1차년도 모니터링에서는 잘피 이식지에서 98종의 대형 저서동물이 관찰됐으며, 2차년도에는 추가 이식 지역에서 32종의 대형 저서동물이 확인됐다.

잘피 서식지가 안정적으로 생육 상태를 유지하면서 2차년도에는 기존보다 약 2헥타르 늘어난 46.146헥타르로 확장됐다. 1차년도부터 지금까지 늘어난 면적은 총 3.4헥타르로, 이는 축구장 4개 크기에 해당한다. 이식된 잘피는 안정적으로 활착한 뒤 지속적으로 군락지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잘피 퇴적층까지 고려하면 연간 1000~1700톤의 탄소를 흡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준 LG화학 CSR팀 책임은 “1차년도에 이어 2차년도 결과에서도 잘피 서식지가 해양 생태계 회복과 기후변화 대응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번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생태계 변화 분석과 장기적 복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