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 현황을 지켜보며 막판까지 모집 인원을 고심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의대생들이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할 정도로 복귀하면 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증원 전(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복귀 의대생들이 수업에 불참하면서 정부가 정원 동결과 증원을 두고 고민을 하고 있다

정부는 2026학년도 전국 40개 의대 모집 인원을 늦어도 다음 주까지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모집 인원은 2000명 늘어난 기존 정원(5058명)으로 한다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생들 복귀 현황을 보고 늦어도 다음 주까지 의대 모집 인원을 결정할 것으로 예측한다”며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할지 (그 이상으로 할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교육계와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생 대부분은 1학기에 등록해 제적(除籍)은 피했다. 그러나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경희대, 울산대 등 주요 의대 학생들은 계속 수업 거부 투쟁을 하고 있다. 의대는 보통 수업 일수의 3분의 1이나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F학점을 받고 유급된다.

고려대는 이날 교수 회의를 열고 수업을 듣지 않는 의대생 120여 명에게 유급을 통보한다고 밝혔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의정 갈등이 마무리 단계에 왔다고 생각한다”면서 “학생을 최대한 보호한다는 원칙이지만 정부 방침에 따라 어쩔 수 없다”고 했다.

연세대도 의대 본과생을 이번 주 최종 유급 처리한다. 아주대, 인하대, 전남대도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들을 유급 처리할지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움직임을 지켜본 뒤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생들이 1학기 등록을 해도 수업을 듣지 않는다면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했다고 판단하는 기준 인원을 몇 명으로 잡을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 내부에서도 의대생들 모집 인원에 대한 반응이 첨예하게 갈린다”고 했다. 의대 학장들은 대부분 기존 정원인 3058명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이지만 대학 본부 측에서는 학령 인구가 감소하는 시대에 모집 인원이 늘어나는 것을 은근히 반기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교협)는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빨리 3058명으로 확정해 의대생들 수업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반면 일부 대학 총장들은 의대생들 수업 참여가 낮은 상황에서 원칙대로 모집 인원을 동결하면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보건복지부는 의대 모집 인원은 교육부와 논의할 사안이라고 발을 뺐다.

정부가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하면 각 대학은 오는 30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반영한 입시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각 대학은 이후 대교협 승인을 받아 다음 달 입시 요강을 홈페이지에 올려야 한다. 대입 재외국민 전형은 오는 7월쯤, 수시 전형은 9월쯤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