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6일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2029년까지 완전 이전하고 대통령 제2집무실 조기 건립은 물론 수도권에 남아 있는 중앙행정기관가지 이전해 수도권 중심의 국정 운영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편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세종시 국회 세종의사당 부지를 찾아 이준배 국민의힘 세종시당위원장으로부터 세종의사당 진행 상황을 보고 받은 후, 이러한 내용의 충청권 공약을 발표했다.
우선 ‘국회의사당의 완전 이전’을 약속했다. 여의도 국회의사당 잔류 없이 입법부 기능을 전면 세종시로 이전하고, 이전 시점도 현재 계획 중인 2032년이 아닌 2029년으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을 조기에 마무리하고, 개헌을 추진해 세종시의 행정수도 지위를 명문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김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 건립과 국회의사당 완전 이전을 2032년이 아니고 2029년에 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중앙행정기관, 대통령 소속 위원회 7곳(국가인권위, 국가교육위, 금융위, 원자력안전위, 개인정보위, 방송통신위 등)과 한글박물관, 세종학당 등의 세종 이전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서울-세종 간의 비효율을 해소하고, 진정한 행정 일원화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후보는 “오늘 이 땅에 와 보니 이 정도 부지면 못할 게 없다. 국회의사당만이 아니라 대통령실도 여기까지 와서 근무해도 될 정도로 매우 넓고 좋은 곳”이라며 “다 옮겨도 아무 지장은 없다.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만 오면 (세종은) 행정수도로서 상당히 편리한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시와 주변 지역의 균형발전을 이끄는 ‘세종 메가시티’ 구상도 함께 제시했다. 이를 위해 조치원 도심구간 철도 지하화,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 등 지역 기반 교통망을 대폭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후보는 “(세종이) 교통이 좀 불편하다. 대통령이 되면 즉시 대전-세종-오송-청주-청주공항으로 연결되는 CTX(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를 반드시 완성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북부권 산업단지를 AI(인공지능) 기반 첨단산업 특화단지로 재편하고, 배후 신도시를 조성해 일자리-정주-산업이 선순환하는 성장축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민간기업, 백화점·공연장 등 문화·상업시설 유치 여건을 조성하고 특목고 및 대학교 유치를 적극 지원해 정주 여건과 도시 매력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의 세종 방문에 맞춰 충청권 4개 시·도(대전·세종·충북·충남)를 포괄하는 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행정수도 완성 ▲광역교통망 확충 ▲AI, 첨단 바이오 등 미래산업 육성 ▲정주여건 개선 ▲지방분권 강화를 5대 전략으로 삼고 세종시를 기반으로 한 ‘충청 메가시티’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에는 대덕 양자클러스터 및 AI기반 융합 혁신센터를 구축하고, 대전형 스마트농업밸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2단계 사업,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세종에는 북부권 산업단지를 AI기반 첨단산업 단지로 재편하겠다는 구상이다.
충남은 서해안에 ‘한국판 실리콘밸리’ 베이밸리 메가시티를 조성하고, 반도체 후공정·항공MRO(항공기·유지·수리·정비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논산-계룡 일대엔 국방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해 방산행정·연구·산업을 연계하고, 공주·부여는 백제 고도 한옥 단지를 조성해 역사문화 명소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특히 대전-충남을 통합해 지방분권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충북은 AI와 첨단바이오가 융합된 ‘K-바이오 스퀘어’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오송을 AI·바이오 융합의 ‘K-바이오 스퀘어’로 조성하고, KAIST 바이오 메디컬 캠퍼스를 유치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청주를 특례시로 지정해 지방소멸에 대응하고, 청주교도소·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와 함께 의료·체육 인프라 확충도 병행할 방침이다.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향후 다른 권역 공약도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