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5·3 전당대회에서 선출됐던 김문수 대선 후보의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의 입당과 후보등록을 진행하는 재선출 절차에 10일 돌입했다. 경선을 거쳐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후보를 추가 절차를 통해 다른 후보로 교체하는 경우는 정당사상 전례 없는 일이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은 이날 자정 무렵부터 국회에서 대선 후보 재선출 절차에 착수했다. 의결 기구인 비상대책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를 번갈아 개최하며 안건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오늘 밤 사이에 김문수 후보의 자격을 취소하고 새로운 후보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다 할 것”이라고 했다.

구체적으로 비대위에서 ‘대통령 후보 선출 절차 심의 작성 요구의 건’을 의결한 후, 선관위에서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의 건’, ‘새로운 대통령 후보자 선출 절차 심의 작성의 건’ 등을 차례로 의결할 예정이다. 이어 한 후보의 입당과 후보자 등록 서류 심사 등을 의결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국민의힘은 당헌 74조의 2를 근거로 김 후보에 대한 후보 자격 취소를 추진했다. 해당 조항은 ‘상당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대선 후보자 선출에 관한 사항은 선거관리위원회 심의와 비대위 의결로 정한다고 돼 있다. 상당한 사유로는 김 후보의 신뢰 문제를 꼽았다. 또 두 후보 간 경쟁력 조사, 단일화 여론조사 등을 후보 교체의 명분으로 삼았다.

신 수석대변인은 “김 후보가 한 후보와 단일화하겠다고 한 것은 국민에 대한 약속”이라며 “대통령 후보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신뢰 문제였기 때문에 두 사람을 상대로 한 후보 단일화에 대한 의사를 물어 발표한 바 있다. 또 수치는 말하지 못하지만 두 사람의 경쟁력을 조사한 게 있다”며 이를 근거로 후보 재선출 절차에 돌입했다고 강조했다.

이후에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전당원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 ‘한덕수 후보를 우리 당의 후보로 선출하는 데 동의하느냐’는 취지의 문구가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투표한 이들 중 찬성 비율이 50% 이상을 넘겨야 한다. 이어 비대위 의결과 오는 11일 소집된 전국위원회에서 ‘후보 재선출의 건’에 대해 과반 동의를 얻으면 절차가 마무리된다.

한편 후보 재선출 절차에 착수하기 전 국민의힘은 심야 의원총회를 열었다. 참석한 소속의원 64명 중 반대 2명을 제외한 다수의 찬성으로 ‘단일화 문제’를 지도부에 일임했다. 의총이 열리는 시각, 두 후보의 대리인들이 두 차례 협상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여론조사 시 ‘역선택 방지조항 도입’ 여부를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끝내 결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