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4일 보수 진영에서 제기된 ‘부정선거론’을 두고 맞붙었다. 안 후보는 “명백한 증거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한 표라도 문제가 있으면 고쳐야 한다”라고 맞섰다.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2차 경선 ‘일대일 맞수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이같이 말했다.
안 후보는 “(선거) 관리 부실은 확실히 있다”며 “관리 부실 가운데에서 만에 하나 부정선거의 증거가 발견된다면 모든 일들이 풀려나갈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일(증거가)이 안 생긴다면 명백하게 부정선거라고 말하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했다.
반면 김 후보는 ‘사전투표’의 보관 문제 등을 언급하며 “선거 관리 자체가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간부들의 취업 비리 논란을 꺼내며 “국민이 믿지 못할 부패하고 비리가 많은 선관위 때문에 부정선거론이 증폭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안 후보가 “지난 대통령 선거와 지방 선거에서는 우리가 이겼는데, 그것도 부정선거인가”라고 묻자 김 후보는 “이겼다고 해서 부정선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단 한 표라도 부정의 소지가 있으면 고쳐야 한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이어 “중앙선관위는 부정선거론자 의견도 경청하고, 민원에 성실하게 답해야 할 의무가 있다. 국민 세금을 받고 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두 후보는 선관위의 선거 관리가 미흡하다는 점에서는 뜻을 함께했다. 안 후보는 “에스토니아처럼 선거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부정 행위를 원천 차단해야 한다”며 “이 시스템을 잘 개발하면 우리나라를 먹여 살리는 먹거리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김 후보는 “당선되면 그 안에 대해 검토하겠다. 문제를 고치기 위해 좋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제22대 총선 부정선거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3일 비상 계엄령을 선포했다고 지속해서 주장해 왔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중앙선관위 전산 장비 문제와 투표함 내 가짜 투표지 등을 근거로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