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을 두고 설전을 주고받았다.

안 후보는 12·3 비상계엄 사태에 진정성 있게 대국민 사과하고 쇄신으로 ‘탄핵의 강’을 넘어야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열리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득세하고 있다며 ‘탄핵 찬성파’의 책임론을 꺼냈다.

국민의힘 안철수(왼쪽),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2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날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경선 ‘일대일 맞수 토론회’에서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계엄 사태에 대해 당이 변화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국민 앞에 먼저 진심으로 사과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며 “국민께 사과하고 호소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김 후보는 안 후보가 윤석열 정권의 인수위원장을 지냈다는 점을 거론하며, 탄핵 책임론을 주장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 출범의 산파가 윤 대통령이 잘못하면 ‘아닙니다’라고 이야기도 하고 당내 의원들을 모아서 (탄핵은) 막아내자고 했으면 좋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에 안 후보는 “국회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은 헌법기관이다. 소신에 따라 투표할 권리가 있다. 헌법 조문을 정면으로 어겼기 때문에 (탄핵소추안에) 투표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공감한다”면서도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 된다고 밥상을 받아놓은 것처럼 한다”며 “모든 원인이 안 후보가 자기 당 소속 대통령을 탄핵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 당의 대통령이 탄핵돼 이재명이라는 범죄 혐의 재판을 받고 있는 사람이 날뛰고 온 정국을 휘젓고 있다”고도 했다.

이에 안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정치력이 정국 경색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다고 꼽았다. 그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상·하원을 차지한 야당과도 성공적으로 협치했다고 언급하며 “윤 전 대통령은 야당 의원을 안 불렀다. 이재명 대표를 불러서 제대로 설득하고 부탁하는 정치력을 발휘했다면 지금보다 나은 상황이 될 수 있었다. 계엄은 최악의 선택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도 “오바마 대통령처럼 잘 대화를 못했느냐에 대해선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계엄으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다거나, 또는 부정선거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건 저도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의사 출신’인 안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 대란 사태’ 책임론도 지적했다. 그는 “의료대란에 대해 국무위원으로서 대통령에게 이견을 제시한 적이 있나”라고 물었다.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냈던 김 후보는 “가능하다면 서로 대화의 장을 열어 그곳에서 충분하고 서로 주고받으면서 문제점을 검토하고 합의에 도달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 건의를 드렸다”며 “의료 부분은 (노동부에서) 다룰 기회는 없었다”고 답했다.

의과대학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 해법을 두고 훈훈한 모습도 보였다.

안 후보가 ‘의료 현장 붕괴’의 해결책을 묻자 김 후보는 “누구보다 안 후보가 해법도 잘 알 거라고 본다”며 “안 후보를 비롯해 현장에 계신 의료 단체의 말씀을 듣고 존중하면서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안 후보는 “제일 중요한 건 의사와 환자 대표가 함께 모여서 협의체를 만들어야 한다. 거기에서 필요한 의사 수를 결정하는 게 답”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 후보는 “좋은 안이라고 생각한다. 대통령이 되면 바로 검토해서 안 후보를 모시고 해보겠다”고 했고, 안 후보는 “제가 해야죠”라고 웃으며 맞받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