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을 두고 설전을 주고받았다.
안 후보는 12·3 비상계엄 사태에 진정성 있게 대국민 사과하고 쇄신으로 ‘탄핵의 강’을 넘어야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열리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득세하고 있다며 ‘탄핵 찬성파’의 책임론을 꺼냈다.
이날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경선 ‘일대일 맞수 토론회’에서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계엄 사태에 대해 당이 변화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국민 앞에 먼저 진심으로 사과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며 “국민께 사과하고 호소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김 후보는 안 후보가 윤석열 정권의 인수위원장을 지냈다는 점을 거론하며, 탄핵 책임론을 주장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 출범의 산파가 윤 대통령이 잘못하면 ‘아닙니다’라고 이야기도 하고 당내 의원들을 모아서 (탄핵은) 막아내자고 했으면 좋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에 안 후보는 “국회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은 헌법기관이다. 소신에 따라 투표할 권리가 있다. 헌법 조문을 정면으로 어겼기 때문에 (탄핵소추안에) 투표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공감한다”면서도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 된다고 밥상을 받아놓은 것처럼 한다”며 “모든 원인이 안 후보가 자기 당 소속 대통령을 탄핵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 당의 대통령이 탄핵돼 이재명이라는 범죄 혐의 재판을 받고 있는 사람이 날뛰고 온 정국을 휘젓고 있다”고도 했다.
이에 안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정치력이 정국 경색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다고 꼽았다. 그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상·하원을 차지한 야당과도 성공적으로 협치했다고 언급하며 “윤 전 대통령은 야당 의원을 안 불렀다. 이재명 대표를 불러서 제대로 설득하고 부탁하는 정치력을 발휘했다면 지금보다 나은 상황이 될 수 있었다. 계엄은 최악의 선택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도 “오바마 대통령처럼 잘 대화를 못했느냐에 대해선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계엄으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다거나, 또는 부정선거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건 저도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의사 출신’인 안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 대란 사태’ 책임론도 지적했다. 그는 “의료대란에 대해 국무위원으로서 대통령에게 이견을 제시한 적이 있나”라고 물었다.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냈던 김 후보는 “가능하다면 서로 대화의 장을 열어 그곳에서 충분하고 서로 주고받으면서 문제점을 검토하고 합의에 도달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 건의를 드렸다”며 “의료 부분은 (노동부에서) 다룰 기회는 없었다”고 답했다.
의과대학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 해법을 두고 훈훈한 모습도 보였다.
안 후보가 ‘의료 현장 붕괴’의 해결책을 묻자 김 후보는 “누구보다 안 후보가 해법도 잘 알 거라고 본다”며 “안 후보를 비롯해 현장에 계신 의료 단체의 말씀을 듣고 존중하면서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안 후보는 “제일 중요한 건 의사와 환자 대표가 함께 모여서 협의체를 만들어야 한다. 거기에서 필요한 의사 수를 결정하는 게 답”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 후보는 “좋은 안이라고 생각한다. 대통령이 되면 바로 검토해서 안 후보를 모시고 해보겠다”고 했고, 안 후보는 “제가 해야죠”라고 웃으며 맞받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