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지도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관련 국회 원 구성과 본회의 일정을 논의하기 위해 오찬 회동을 했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민주당은 공석인 상임위원장 선임 절차를 강행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국민의힘은 국회 원 구성이 합의되지 않으면 본회의 개최에 협력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6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원구성 협상 관련 오찬 회동을 하며 인사하고 있다./뉴스1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6일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오찬 회동을 했다. 이 자리에는 문진석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도 함께했다.

여야 지도부는 1시간이 넘게 오찬 회동을 진행했지만, 결국 기존 입장만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가 출범했고, 민주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한 만큼 법사위원장을 양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은 1기 지도부 때 합의한 상임위원장 임기가 1년 남아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양보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

문진석 수석부대표는 “6월 임시국회 내 추경을 처리하기 위해 내일(27일) 반드시 본회의를 열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했다”며 “(국민의힘 몫인) 기획재정위원장은 논의 더 거쳐야 한다고 하니, 공석인 4개 상임위원장(법사위·예결위·운영위·문체위)에 대한 선임 절차는 밟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상범 수석부대표는 “야당에선 의회 내 견제와 균형을 위해 법사위원장이나 예결위원장을 양보하는 것을 요구했고,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에서 본회의 개최는 협력하기 어렵다고 했다”며 “오늘 협상 과정에서 양측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았다”고 했다.

민주당은 합의가 끝내 결렬될 경우 오는 27일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을 일괄 선출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이미 예결위원 명단을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제출한 상태다. 국민의힘은 추후 당내 논의에 따라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추후 여야 지도부 회동 일정은 결정되지 않았다.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도 논의됐지만, 합의하지 못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 시정연설 이후 지명 철회를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