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싱크탱크로 불리는 ‘성장과 통합’이 24일 내분으로 자체 해산설에 휩싸였다. 조직 내 일부 위원회가 단독으로 해체 입장문을 발표하자, 유종일·허민 공동대표가 “사실이 아니다”라며 반박 입장문을 냈다. 조직 해산 여부를 두고 내부 주장이 엇갈린 것이다. 각계 전문가를 영입해 대규모 조직으로 출범식을 한 지 8일 만이다.

유종일, 허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성장과 통합 출범식에 참석해 있다. /뉴스1

성장과 통합 이현웅 기획운영위원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특정 후보의 싱크탱크로 불리고, 일부 인사가 차기 정부의 특정 자리에 이름이 거론되면서 사전 선거운동 시비와 민주당 선대본 활동과 관련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면서 “23일 기획운영위원회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성장과 통합은 올 1월부터 학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활동해왔다”면서 “600여 명의 학계, 관계, 연구기관, 기업, 시민사회단체 출신 연구자들이 모여 500여 개의 정책을 준비했다”고 했다.

그러나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해체에 관한 보도자료는 인지하지 못한 내용”이라며 “정책 제언집을 특정 캠프에 전달하는 것은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을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정당에 전달할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했다.

이들은 “어떤 방안이 가장 효율적인지 재구조화 작업을 논의 중에 있다”면서 “발전적 해체를 하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최종 결의된 바 없고, 두 대표의 의사에 반하여 보도자료를 낸 동기와 의도를 파악 중”이라고 했다. 임병식 성장과 통합 대변인도 “해체를 운운하는 보도자료는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 입장과 정면 배치된다”고 했다.

앞서 성장과 통합은 지난 16일 국회도서관에서 출범식을 했다. 이 자리에는 당 지도부 등 현역 국회의원과 교수, 전직 관료 등 수백명이 몰렸다. 정작 분과위원장들이 행사장 내부에 들어가지 못하거나 앉을 곳이 없어 뒤편에 서 있기도 했다.

성장과 통합은 34개 분과로 나뉘어, 총 500여명의 전문가가 정책을 개발할 목적으로 출범한 조직이다. 그러나 ‘이재명 싱크탱크’를 자처한 이 곳에 사람이 몰리면서, 정치 조직으로 몸을 키울 거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KDI(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장 출신 유종일 상임공동대표, 일부 분과위원장이 차기 내각을 꾸릴 거란 말이 나오면서, 당내 견제는 물론, 경고성 메시지도 받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