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이번 대선 경선 규칙(룰)을 권리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비율 50%로 변경하기로 결론을 냈다. 특별당규준비위에서 정한 경선 룰은 당원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차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뉴스1

특별당규준비위는 11일 오후 국회에서 3차 회의를 열고 ‘권리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비율 50%’ 국민참여경선 방식의 경선 룰로 잠정 결론을 지었다. 이는 앞서 19·20대 대선 때 적용한 국민경선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특별당규준비위 핵심 관계자는 조선비즈에 “어떠한 유불리를 떠나 (특별당규준비위 내에서) 많은 토론이 이뤄졌다”며 “(이번 경선 룰 결정에 대해) 논란의 소지가 생기거나 왜곡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참여경선은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애초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는 국민참여경선을 유력한 방안으로 검토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선 기간도 짧고 보수층이 일반 국민으로 참여해 유력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경선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이유다.

반면 국민경선은 일반 국민이 선거인단으로 경선 투표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주로 비명(非이재명)계 후보들이 선호했다. 권리당원 참여 비중이 높아지게 되면 당심을 장악한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한 경선이 되기 때문이다. 또 앞서 19·20대 대선에서 국민경선을 채택한 만큼 이번 대선에도 적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다는 주장이다.

특별당규준비위는 12일 오전 11시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같은 날 오후 2시 경선 룰을 최종 의결한다. 이후엔 당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민주당은 의원총회를 열어 경선 룰에 대한 내용을 공유할 예정이다.

민주당이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 룰을 마련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비명계 후보들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과 국민경선을 주장했지만, 특별당규준비위가 결국 비명계 후보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다만 특별당규준비위도 잠정 결론을 내린 경선 룰을 바꾸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춘석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모든 후보가 불만을 가지는 안을 만드는 게 준비위원의 소명이라고 생각하고 결론을 냈다”며 “그(다른) 의견을 들었다고 해서 내린 결론 바뀌지 않지만, 양해를 구하는 것들이 준비위의 소명”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