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1차 회의에서 이춘석 위원장(가운데), 맹성규 부위원장(오른쪽), 황명선 위원이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경선 규칙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11일 오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0일 오후 4시부터 밤 11시까지 대선 후보를 선출할 경선 규칙을 정하기 위해 회의를 진행했지만 최종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하기 위한 최선의 경선룰이 어떤 것인지 논의했다”며 “출마 예정자들의 입장은 물론 당원들의 당원 주권주의를 확립해달라는 요청도 있어 종합적으로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결론에 이르지 못해 내일 오전 10시에 다시 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일반 국민이 선거인단으로 경선 투표에 참여하는 ‘국민경선’ 방식과,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권리당원 투표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놓고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이에 대해 “양쪽의 장단점이 있다”며 “어느 쪽이 절대적으로 맞다고 동의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조화점이 뭐냐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고 그런 부분을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준비위원인 황명선 의원은 국민참여경선 방식에 대해 “역선택에 대한 고민이 가장 크다”며 “당원주권에 대한 보완 부분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할 것인지 깊게 토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경선은 민주당이 앞서 지난 19대와 20대 대선 당시 채택했던 경선 방식으로 자동으로 투표권이 부여되는 전국대의원과 권리당원에 선거인단으로 신청한 국민과 일반당원, 재외국민까지 1인 1표로 투표권을 부여한다. 반면 국민참여경선은 권리당원 투표 50% 이하, 국민 여론조사 50% 이상으로 대선 후보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