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극한지 스마트 관측 시스템’의 남극 현장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 개발로 사람이 직접 남극에 가지 않아도 연중 내내 극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극한지 스마트 관측 시스템은 남극 내 관측소 5곳, 자율 로봇, 관제 거점, IoET 기반 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돼 있다. 고해상도 지반 레이더와 저온 전력관리 시스템 등 극지 특화 기술이 통합 적용된 자율 로봇이 눈에 가려진 크레바스(빙하의 갈라진 틈)를 탐지·회피하며 관측소를 점검한다. 수십 km 떨어진 기지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극지연구소 이주한 박사 연구팀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백승재 박사,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최영호 박사 연구팀과 함께 2023~2024년, 2024~2025년, 두 차례에 걸쳐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약 2개월간 실증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해당 시스템이 영하 50도 이하 환경에서도 초당 10메가비트(Mbps) 이상의 속도로 50km 거리까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3대 이상의 로봇이 동시에 작동해도 이상 없이 관측 및 점검 임무를 수행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극지연구소의 빅데이터 플랫폼과 연동되어 일반에 단계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정부와 연구팀은 향후 세종과학기지와 북극 연구거점, 남극 내륙 등으로 활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관련 기술의 산업화를 진행하는 한편, 국제 공동 탐사에서도 활용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극지의 변화는 북극발 한파나 해수면 상승 등으로 우리의 일상과 안전에 영향을 미쳐 관측하고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혹한, 극야, 위험 지형 등으로 1년에 한 번 직접 방문해 장비를 점검하고 회수하는 식으로 이뤄져 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실증으로 사람이 가기 힘든 지역에서도 극한지 통합 관측 시스템의 운용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라며 “극한 환경에서 더욱 안전하고 안정적인 연구가 가능하도록 관련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