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고위급 관세 협의를 앞두고 정부가 관세 협의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이슈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옥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제46회 통상추진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대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회의가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회의에는 통상 주무 부처인 산업부 외에도 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특허청, 기획재정부, 외교부, 관세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금융위원회 실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여 본부장은 “모든 부처가 엄중한 책임감을 갖고 한미 양국이 상호 윈윈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주요 이슈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한미 협력 패키지도 적극 발굴해 협상에 총력 대응해 달라”고 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급박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우리는 여러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요국들에 비해 진도가 더뎠던 상황”이라며 “새 정부의 국정 철학인 ‘성장’에 맞춰 한미 통상 협상을 우리 제도 선진화와 규제 합리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성장 동력 창출 계기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회의에 참석한 관계 부처들은 한미 통상 협상이 우리 경제의 명운이 달린 최대 현안인 만큼 국익 극대화를 위해 비상한 각오로 적극 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향후 집중적 협상 진행에 대비해 통추위를 수시로 개최하는 등 범부처 공동 대응 체계를 공고히 하고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해 한미 통상협상이 원만히 마무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