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12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제17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최근 서울 지역의 집값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부동산 시장 대응에 착수했다.

기획재정부는 12일 관계부처와 함께 ‘부동산시장 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주택 가격과 가계대출 흐름 등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는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장관 직무대행 자격으로 주재했으며,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회의에서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와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상승률은 6월 첫째 주 기준 0.26%를 기록해 전주(0.16%)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도 5월에만 6조원 가까이 늘며 전달(5조3000억원)에 이어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 주거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실수요자 보호 원칙하에 투기·시장교란 행위나 심리 불안 가수요 등이 시장 안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각 부처의 가용 정책 수단을 총망라해 검토하겠다”며 “실수요자 보호, 서민 주거 안정 등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형일 장관 대행은 TF 회의에 앞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도 “경제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중책을 맡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가장 중요한 물가와 부동산 문제를 먼저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회의에서는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등 주요 생활물가 품목에 대한 가격 동향과 수급 상황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