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에서 일평균 교통량이 가장 많았던 도로는 수도권 제1순환선 하남 분기점에서 남양주 퇴계원 나들목 구간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를 통행한 차량은 하루 평균 1만6262대로 전년보다 1.3% 증가했다. 고속도로는 5만3392대(1.6% 증가), 지방도는 5934대(1.1% 증가)로 각각 늘었지만, 일반국도는 1만3136대로 0.3% 줄었다.
가장 붐빈 구간은 수도권 제1순환선 하남 분기점∼남양주 퇴계원 나들목(13.6km)으로 하루 평균 22만2540대가 통행했다. 일반국도에서는 자유로 서울시계∼고양 장항 나들목(19.5km)이 19만1565대로 가장 많았고, 지방도는 화성 천천 나들목∼서수원 나들목(5.6km) 구간이 12만7525대였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하루 평균 4만677대로 가장 많았으며, 강원도는 8292대로 가장 적었다. 교통량 증가율은 충북이 2.9%로 가장 높았고, 감소율은 제주도가 4.3%로 가장 컸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1만1906대(73.2%)를 차지했고, 화물차는 4053대(24.9%), 버스는 303대(1.9%)로 집계됐다. 특히 승용차는 전년 대비 1.9% 증가한 반면, 화물차와 버스는 각각 0.2%, 2.3% 감소해 승용차 중심 이동 패턴이 강화됐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4~5시, 요일별로는 금요일에 교통량이 집중됐다.
허나윤 국토부 디지털도로팀장은 “하루 평균 교통량의 총 이동 거리는 약 5억1600만km로, 이는 지구를 1만2885바퀴 도는 거리”라며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기반 교통량 조사 장비를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해 데이터 활용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