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회사채 시장이 다시 긴장감에 휩싸이고 있다. 2분기 중 23조 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는 가운데,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발표 이후 신용 스프레드가 다시 확대되고 있어서다. 신용 스프레드의 확대는 곧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 상승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기업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고채 3년물과 AA- 등급 회사채(3년, 무보증) 간 금리 격차는 지난 21일 기준 0.59%포인트(p)를 기록했다. 지난달 19일의 0.56%p보다 확대된 수치로,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모양새다. 이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작년 12월 5일과 같은 수준이다.

◇ 하락하던 신용 스프레드, 美 관세부과 이후 상승

신용 스프레드는 기업이 채권을 발행할 때 국채 금리에 더해 부담하는 금리를 말한다. 이 수치가 커질수록 채권 투자자들이 더 많은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다는 뜻이다. 자금 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이나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더 큰 부담을 안게 된다.

그래픽=정서희

신용 스프레드는 작년 말까지 0.59%p 수준에서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지만, 작년 12월 비상계엄 선포와 국고채 지표물(가장 최근에 발행된 국고채) 교체가 겹치면서 0.65%p까지 급등했고, 한덕수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12월 27일 0.69%p까지 올랐다. 이후 정국 불안이 일정 부분 해소되자 0.56%p로 떨어졌으나, 미국의 관세 이슈가 터지면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통상 증권사들은 새 국채가 발행되면 교체 매매를 통해 기존에 보유하던 국고채를 새 채권으로 교체하는데, 이 과정에 국채 매수가 늘어나면서 신용 스프레드가 확대된다. 평상시라면 이렇게 확대된 신용 스프레드는 1~2주 만에 다시 축소된다. 그런데 작년 말에는 정치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한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스프레드 확대의 배경으로 국내 정치 리스크보다는 미국발(發) 대외 변수의 영향을 더 크게 보고 있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신용 스프레드의 방향성이 위로 열려 있다”며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이전보다 줄었지만,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이 현재 채권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기업들의 만기도래 물량이 집중되며 추가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2분기(4~6월) 중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규모는 총 23조1749억 원에 달한다. 이는 올해 전체 회사채 만기 규모(79조1061억 원)의 약 29%에 해당한다. 즉, 2분기 안에 전체 회사채의 3분의 1 가까이가 만기를 맞는 셈이다.

문제는 이처럼 만기 물량이 집중된 시기에 신용 스프레드가 상승하면 차환 발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유동성 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일수록 재발행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고, 이는 곧 기업의 부도위험 증가로 이어진다.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로 신용 스프레드가 0.98%p까지 확대됐던 지난 2022년 9월에도 차환에 실패한 사업장들이 잇따르면서 건설사들의 연쇄부도로 이어진 바 있다.

◇ 당국도 경계태세… “100兆 시장안정 프로그램 가동"

아직까지는 회사채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그러나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점차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외교적 리스크까지 겹칠 경우, 시장이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최근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관세 전쟁 강도를 높이면서 국내 수출 기업들의 수익성에 대한 불안감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관세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한국신용평가는 작년 말 낸 보고서에서 “단기금융, 회사채 등 직간접 금융시장 어느 한 곳에서라도 중대한 신용 위험(크레딧 이벤트)이 발생한다면 하강 국면에 있는 경제환경과 취약한 투자자 심리가 결합돼 자본시장에 상당한 트리거(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금융당국도 예의주시하며 비상 대응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당국은 비상계엄 직후 가동한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필요시 자금을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상호관세 부과를 앞둔 지난 7일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채안펀드를 포함해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 프로그램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에도 시장의 불안 요인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김상만 연구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시장의 피로감이 점차 누적되는 양상”이라면서 “국내 신용채권시장이 현재 중요한 변곡점에 처해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