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6월과 9∼10월 농번기에 농업 분야 인력 700만명을 지원한다고 농림축산식품부가 21일 밝혔다. 정부는 인력 수요가 많은 사과와 복숭아 등 10개 주요 품목 주산지에 대해서는 매주 인력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이날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외국인 계절근로와 내국인 농촌인력중개·일손 돕기로 각각 400만명, 300만명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 인력 700만명은 농번기 농업고용인력 수요인 1450만명의 절반 수준이다.
정부는 올해 계절근로 도입 시·군을 134곳으로 늘리고, 배정 인원도 6만8911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농협이 인력을 운영하면서 농가에 하루 단위로 인력을 공급해주는 공공형 계절근로도 90곳(30만명)으로 늘린다.
이 밖에 농번기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신속한 입국을 지원하기 위해 주요 출입국 외국인관서에 ‘계절근로자 사증발급 전담팀’을 운영한다. 성실 근무 계절근로자의 재입국 편의 제고를 위한 방안도 모색한다.
무더위를 대비해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여건도 개선한다.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농업 근로자 기숙사를 30곳 건립할 예정이다. 기숙사 건립 지원 사업 지원 대상을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농협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또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해 계절근로자 전용 농작업근로자 안전보험 가입을 활성화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외국인 근로자 인권 침해 실태 점검에 나서는 한편 관계 부처와 함께 농장주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농번기 인력 수요가 많은 사과와 복숭아 등 10개 품목 주산지를 비롯한 32개 시·군에서 농번기에 매주 인력 수급과 인건비 동향을 모니터링한다. 인력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지자체와 농협, 법무부 등이 참여하는 관계 기관 인력수급 상황 회의를 열어 대응할 방침이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전북 진안군의 계절근로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농업인, 지자체와 함께 농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 근로 여건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