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주요국 가운데 하위권에 머물렀다. 내수 침체와 정치 불안이 겹치면서 올해 1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이 제기된다.
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기 대비 0.0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에 중국을 포함한 37개국 중 29위에 그쳤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잠정치(0.1%)보다 낮은 수치로, 역성장을 가까스로 피한 수준이다.
아일랜드(3.613%), 덴마크(1.849%), 튀르키예(1.688%), 중국(1.600%), 포르투갈(1.542%) 등 상위 5개국은 모두 1%를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0.607%)과 일본(0.556%)도 한국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분기별 성장률 순위는 세 분기 연속 하위권이다. 지난해 1분기에는 1.3%로 6위에 올랐지만, 2분기 -0.228%(32위), 3분기 0.1%(26위), 4분기 0.066%(29위)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소비·투자 부진과 12월 정치 혼란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1분기에도 경기 반등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형 산불과 탄핵 정국 장기화가 소비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가운데, 수출 증가세도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9.1% 줄어 16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2월 올해 1분기 성장률을 0.2%로 전망했지만, 이를 달성하기도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