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관세 부과 민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3일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 2025.3.27/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의 관세 조치가 우리 경제와 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지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3일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 합동 미 관세 조치 대책 회의’를 열고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관·통상교섭본부장·실무급 방미를 포함해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날 미국 상호 관세 조치 대응 대책 회의에서 경제 단체, 연구 기관, 업계 관계자와 함께 우리 기업이 받을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미 정부는 전날(현지 시각) 4시 국가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해 모든 국가에 대해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한국, 일본, EU 등 주요 무역적자국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기본관세 10%, 상호관세 15%로, 총 25%의 관세를 부과 받았다. 이는 캐나다, 멕시코가 부과 받은 관세율과 동일하며, 일본(24%), EU(20%)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 자동차 및 철강·알루미늄 ▲구리·의약품·반도체·목재 ▲에너지 및 미국 내 미생산 일부 광물 등에 대해서는 중복 적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