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현대전에서 드론이 전장의 판도를 뒤바꾸는 위력을 입증하면서 방산업계에서 드론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각국 정부와 방산 기업들은 정찰·공격·전자전 등 다양한 용도의 드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민간 분야에서도 자율비행·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신형 드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국도 이러한 첨단방산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2000억원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드론, 항공엔진 소재 등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의 자립화를 중점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민군 간 정보교류’ 역할을 맡는 ‘첨단민군협의체’를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2025 드론쇼코리아’가 개최되는 부산 벡스코에서 육·해·공군과 산·학·연이 참여하는 ‘첨단 민군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공동위원장인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과 육군(오혁재 소장)·해군(김태훈 소장)·공군(이태규 소장) 등 기획관리참모부장을 비롯해 산·학·연 위원 25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협의체 운영방안과 지속 가능한 방산수출·방산생태계 구축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육·해·공군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민군협력진흥원은 첨단기술 기반의 민군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미래 전장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방에서 AI, 드론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민간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 속 민군 기술융합 촉진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협의체를 출범했다”고 설명했다.
협의체는 ▲민군 간 정보교류 활성화 ▲군 수요 기반의 혁신적인 R&D 신규 과제 발굴 ▲민군 간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협의체 산하에 지상, 해상, 공중 등 3개 분과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협의체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우수 R&D과제를 우선 지원하는 등 정부 지원책과의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대표적인 기술개발 과제 품목으로는 스마트 함교체계, 정밀유도탄 제조공정 자동화, 전차용 고출력(1500 마력급) 파워 트레인 등이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 R&D 지원에 투입되는 예산은 2000억원”이라며 “이외에도 방산 중소·중견 기업들도 글로벌 벨류체인에 진입할 수 있도록 수출 금융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승렬 실장은 “방산수출의 모멘텀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방산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물론, 민군 간 원팀의 국가적 역량 결집이 중요하다”며 “첨단민군협의체가 최고의 민군 협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민간 첨단기술의 국방적용 확대 등 지속 가능한 K첨단방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