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동·청소년 평균 키 변화./국가기술표준원 제공

10년 전인 2013년보다 한국 남자 중학생의 키가 평균 7.4㎝ 자란 것으로 조사됐다. 신체 길이의 성장이 최대치에 근접해 포화 양상을 보이는 시기도 남녀 모두 2년 씩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어린이날을 사흘 앞둔 2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회에선 우리나라 만 7~19세 아동·청소년 1118명(남 571명, 여 5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년 전인 2013년보다 우리나라 남녀 초등학생의 평균 키는 각각 4.3cm, 2.8cm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남자가 7.4cm, 여자가 3.3cm 더 커졌다. 고등학생은 남자가 2.2cm(남), 여자가 1.9cm(여)가 더 커졌다.

키와 발길이 등 신체 길이의 성장이 최대치에 근접해 포화 양상을 보이는 시기가 남자는 16세에서 14세로, 여자는 15세에서 13세로 과거에 비해 약 2년 정도씩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표원에 따르면 이렇게 확보한 인체치수조사 결과는 의자 등 가구나 의류 제작시 사이즈 등을 정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신뢰성과 정확도를 갖춘 대한민국 아동·청소년들의 최신 인체데이터는 미래 세대의 편의 향상을 위한 제품·공간·서비스 디자인에 직접 활용될 것”이라며 “”앞으로 인체데이터가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디지털 신원인식·보안 등 신산업 분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