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해킹 사고를 악용한 피싱·스미싱 시도가 확인된다며 가입자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안내 공식 문자는 114 번호로 발신되고, 차세대 문자 전송 서비스(RCS)를 지원하는 단말에서는 ‘공식 인증 마크’도 표기된다. 이 외에 방법으로 사이버 침해 사고 내용이 담긴 연락을 받았다면 피싱·스미싱 시도로 의심된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은 18일 자사 뉴스룸을 통해 “가족·정부 기관·SK텔레콤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일부 발생하고 있다”며 스팸·스미싱 피해 방지 대응 시스템을 안내했다.
SK텔레콤은 최근 전화나 문자를 통해 ‘SK텔레콤 해킹 피해 여부를 점검해 주겠다’는 식으로 접근해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는 사례를 발견했다. 여기엔 유심 해킹이나 악성 앱 감염 등과 같은 문구가 포함돼 있었다. SK텔레콤 측은 “어떤 경우에도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이런 요구는 단호히 거절해 금융 피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SK텔레콤은 유심 무상 교체 예약 매장에서 직접 고객에게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안내를 ‘114’ 번호로 통일해 발송하고 있다. 또 일부 단말에서는 ‘공식 인증 마크’를 통해 SK텔레콤이 공식적으로 보낸 문자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이와 함께 회선 개통·문자·전화·인터넷 등 서비스별 사이버 범죄에 대한 대응 시스템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문자 스팸 필터링 ▲음성 스팸 및 보이스 피싱 번호 차단 ▲불법·유해 사이트 접속 차단 등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 측은 “사이버 침해 사고 직후 스팸 피해 예방을 위해 범죄 대응 시스템을 더욱 강화해 운영하고 있다”며 “경제적 피해를 본 경우, 경찰청 사이버수사국·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고 안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