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SK텔레콤 T타워 SUPEX홀에서 SK텔레콤의 해킹 사고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뉴스1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대응해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보안 정보보호 혁신위원회’를 구성한다고 7일 밝혔다. 그룹사 전체 보안 체계 전반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SK텔레콤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불거진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했다.

최 회장은 “SK 전 그룹사를 대상으로 보안 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 보호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이고 중립적 시각에서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단순히 보안 문제가 아니라 국방(문제)이라고 생각해야 할 상황”이라며 “국방 상황을 짜고 안보 체계를 제대로 세우는 게 중요한 상황이고 생명을 다룬다는 생각으로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보안 정보보호 혁신위원회에 대해선 “이런 위원회는 주로 수펙스 협의회에 구성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확한 투자 규모 등은 아직 사고 원인 조사가 진행 중이라 향후 발표하겠다고 했다. 해당 위원회를 어느 계열사가 주도하는지도 향후 공개할 예정이다.

최 회장은 또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고 공식으로 사과했다. 그는 “사고 이후 일련의 소통과 대응이 부족했던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저를 포함한 경영진 모두가 뼈아프게 반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희섭 SK텔레콤 PR센터장도 “(유심 정보 탈취 신고 후) 3일 만에 유심 무상 교체를 발표했지만, 사실 준비가 덜 된 상태였다”라며 “온라인 예약 시스템 폭주 등이 나타나 고객 불편하게 한 점도 잘못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이날 자사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를 포함해 2411만명에 대한 유심보호 서비스 자동 가입을 마쳤다고 밝혔다. 오는 14일에는 유심 소프트웨어 변경(유심 포맷) 기술을 개발 완료하고 15일에는 유심보호 서비스를 로밍 상품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현재 로밍 상품 이용으로 인해 유심보호 서비스에 가입하지 못하는 이용자들도 모두 자동 가입된다. 부족한 유심 재고도 15일 이후에는 대량 입고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이를 기점으로 ‘유심 대란’ 사태가 일부 진정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