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에 댓글을 무더기로 달아 여론몰이에 나서는 이른바 ‘좌표 찍기’ 행위가 발견되면 언론사에 통보하고 댓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28일 네이버는 제휴 언론사에 보낸 공지를 통해 “댓글 공간에서 이용자 반응이 급증하는 현상을 언론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29일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에 신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기능은 특정 댓글에 일정 기준 이상 공감이나 비공감이 급증할 경우, 24시간 이내에 이를 감지하고 뉴스 서비스 내 별도 문구로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언론사는 ‘좌표 찍기’가 의심되는 기사에 대해 댓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다. 네이버는 “감지된 기사 목록은 새롭게 개편된 댓글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언론사에서 해당 기사에 대해 댓글 정렬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면 직접 설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이 기능을 베타 버전으로 시작하며, 향후 감지 기준을 고도화하고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특정 댓글에 공감과 비공감이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기사는 일정 기준에 따라 감지되며, 이러한 현상이 감지되면 즉시 언론사에 통보하고, 이용자도 알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18일,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해 “좌표 찍기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적 조치를 미리 하지 못한 점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확한 시점은 확인해 봐야 하겠지만) 4월 28일경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해 언론사들에게 해당 내용을 알리고, 이용자들도 즉시 알 수 있도록 기술적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규 네이버 서비스운영통합지원총괄 역시 과방위 현안 질의에서 “좌표 찍기와 같은 악성 댓글 어뷰징 트래픽이 감지되면 이를 언론사에 전달해 언론이 운영 방침에 따라 판단할 수 있도록 기능 개선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유튜브 등에서 특정 기사에 ‘좌표 찍기’ 현상이 발생하며 정치적 논란이 일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네이버는 뉴스 댓글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개선을 서둘러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