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내내 범용 메모리 반도체 가격 부진에 시달렸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성적표가 기대치를 하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업계에서는 2분기부터 본격적인 반도체 시황 반등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완만한 수준의 회복세를 예상하고 있으며 극적인 반전은 어려울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3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영업이익이 5조원 안팎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작년 1분기(6조6000억원)와 작년 4분기(6조5000억원)와 비교해 1조원 이상 줄어든 수치다. 이러한 실적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약세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 적자 확대가 꼽힌다.
주요 증권사들의 보고서를 종합하면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은 올 1분기 메모리 사업에서 2조원 이상의 이익을 내고도 시스템LSI, 파운드리 사업에서 생긴 대규모 손실을 감당하지 못해 4000억원 수준의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주력인 메모리 사업은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중국 수출 규제 영향을 받고, 범용 메모리 제품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이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진단이 제기된다.
SK하이닉스의 1분기 실적도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 올 1분기 영업이익을 6조 5000억원대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1분기(2조8860억원)보다 늘어난 수준이지만, 작년 4분기(8조1000억원)와 비교하면 1조원 이상 줄어든 성적표다. 실적 둔화의 원인으로는 범용 D램 가격 하락과 함께 SK하이닉스의 핵심 고객사인 엔비디아를 대상으로 HBM 출하량이 소폭 감소한 점이 지목된다.
다만 이번 달을 기점으로 메모리 수요가 늘어나면서 D램 3강 중 하나인 미국 마이크론이 대대적인 가격 인상을 선언하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올 2분기부터는 ‘반도체의 봄’이 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HBM을 제외한 일반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반등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인공지능(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해 메모리 반도체 전반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에 정통한 관계자는 “DS부문 임원들이 최근 직원들에게 올 1분기 최저점을 찍고, 2분기부터는 업황 개선과 기술력 회복으로 성장이 본궤도에 들어서며 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과거처럼 V자형 반등이나 드라마틱한 반전은 어렵지만, 예년 수준의 영업이익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대 시장인 중국 시장의 수요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2분기 실적 개선에 보탬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수림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중국 내 모바일 D램 재고 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가까워지며 DDR5에 이어 DDR4도 현물가(스팟 가격)가 상승하고 있다”며 “상반기는 확실히 가격이 상승 흐름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또 “이는 메모리 업체들이 보수적 공급 기조를 유지하기 때문”이라며 “가격 상승에도 공급 확대가 없다는 점이 고객사의 재고 축적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낸드플래시 가격도 오랜 감산 끝에 올 4월부터는 상승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25일 “낸드플래시 가격이 4월에 오를 전망이고, D램도 재고 조정 효과로 가격이 안정돼 올해 2분기 이후 상승이 예상되는 등 메모리 산업의 회복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 이구환신(以舊換新) 정책과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한 선제적 재고 축적이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며 “딥시크 이후 가성비를 갖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동시에 진행돼 메모리 수요가 (기존) 추정 대비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